철학 브런치 - 원전을 곁들인 맛있는 인문학 브런치 시리즈 1
정시몬 지음 / 부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 브런치>에 이어 <철학 브런치>를 읽었다.  저자는 어렸을 때부터 소문난 간서치였다는데..  책을 읽다보면 그의 방대한 독서량을 느낄 수 있다.  저자는 철학편, 세계사편에 이어, 문학편으로 인문학 브런치 시리즈를 출간할 예정이라고 한다.   문.사.철 중에 이제 <문학 브런치>만 남은 셈이다.   문학 쪽에서는 어떤 책을 읽었는지 어떻게 사유에 반영되었는지 다음 출간될 책도 기대된다. 

 

일반적인 철학사를 다룬 책 보다는 확실히 재미있다.  원전을 곁들여서 철학서를 직접 읽어 볼 기회도 있는데다가 재밌는 일화나 적절한 비유와 유머 까지 곁들여 지루하지가 않다.  그래도 어쨋든 철학.. 고대 철학 부터 근대 철학까지는 그럭저럭 따라갈만 하다가 독일 관념론이 나오면서 이성이 어쩌구 존재, 현존재가 저쩌구 하면서는 따라가기가 힘들다.    저자는 같은 독자 입장에서 난해하고 이해하기 힘든 부분을 친절하게 설명하면서 따라오기 쉽게 도와준다.   마지막 챕터 실존주의 철학 챕터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철학과 문학을 넘다드는 철학자들이 나와 위기를 넘기고 일독했다. ㅎㅎ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상대방이 안다는 착각에 빠져 있을 뿐 실제 아무것도 모르고 있음을 깨닫도록 하여 사유하게 한다.  근데 내가 보기엔 말꼬리잡기식인 것으로 보인다는.   상대가 별 생각 없이 사용하는 개념들에 대해 역발상식으로 질문을 하여 말문이 막힐 때 까지 집요하게 캐물으니 상대는 멘붕이 올수 밖에 없다.   이 대화법으로 수많은 적을 만들고, 사형까지 받게 되는 것은 우얄꼬.

 

소크라테스의 대화편은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사후에 저술한 것들이다.  대화편 중에 <향연>은 소크라테스를 포함해 6명이 에로스를 찬양하는 연설을 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고, 소크라테스의 기소와 죽음에 관한 3부작으로는 <변명>, <파이돈>, <크리톤>이 있다.  <변명>편은 재판 당시 자신을 변호하는 연설문을, <크리톤>은 왜 아테네 법률에 따라 기꺼이 죽으려 하는지를 놓고 토론을 벌이는 대화를, <파이돈>은 소크라테스의 죽음 직전 나눈 대화를 싣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은 한마디로 예술철학 이론서라 할 수 있다.   현대 철학가가 썼다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현대적이다.  <시학>은 "카타르시스"란 용어가 등장한 것으로 유명하며, 모방으로서의 예술, 그중에서도 시작(詩作)과 희극과 비극의 공연 행위에 대해 주로 다루었다.    

 

"희극은 사람을 실제보다 열등하게 묘사하는 것을, 비극은 실제보다 뛰어나게 그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로 치자면 엄친아, "키케로"와 "아우렐리우스"편도 재미있게 읽었다.   "키케로"는 철학자, 웅변가, 저술가로 팔방미인이었지만, 자신의 이런 멋을 뽐내려면 원로원의 연단이 필요했었나보다.  그는 열렬한 공화정주의자였고, 당시는 공화정의 부패로 인해 제정시대로 넘어가고 있었던 시대였다.  키케로는 자객의 칼에 맞아 죽게 된다는.. 신은 공평한건가.  완벽한 줄만 알았던 키케로는 시대의 흐름을 잘 타지 못하는 어리숙함을 보였으니..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명상록>은 학창 시절 소중히 다뤘던 책이었다.  제대로 읽지는 않아도 소장한 것 만으로도 있어 보이던 책..   로마 제정시대 오현제의 마지막 황제였던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철인 군주로 불리지만, 자식 문제에서만은 왜 현명하지 못했을까.   다른 황제처럼 능력있는 귀족 자제를 후계자로 삼아 왕의 자리를 물려주지 않고 자식에게 대권을 물려준 것이다.  그 자식이 영화 <글래디에이터>의 코모두스이다.  영화는 각색이 많이 이루어졌지만.  여튼 로마는 오현제로 끝나고 국운이 기울기 시작한다.

 

근대 철학자 베이컨, 데카르트, 파스칼편도 어렵지 않게 읽어나갔다.  그들이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컨과 데카르트는 경험론과 합리론, 귀납법과 연역법, 영국 철학과 대륙 프랑스 철학을 대표하는 라이벌로 대비되어 왔다.  또 그들은 둘 다 폐렴으로 사망한 것이 동일한데, 베이컨은 추운 날 황당한 과학실험을 하다가, 데카르트는 스웨덴 크리스티나 여왕을 추운데 새벽부터 가르친다고 궁전을 드나들다가 병을 얻었다고 하니, 죽는 날까지 학자로서의 소임을 다한 면에서 '라이벌'이 맞다. ㅎㅎ

 

몽테뉴의 <수상록>만 유명한 줄 알았다.  베이컨의 <수상록>은 몽테뉴 책인줄 알고 소장했다가 읽지 않고 꽂아만 둔 책이었다.   저자는 베이컨의 <수상록>을 꼭 읽어보라고 권장한다.   명품 철학 에세이의 맛을 볼 수 있을 거라고 한다.

 

독일 관념론 철학자 칸트와 헤겔은 슬쩍 피하고 싶다.  다만 쇼펜하우어의 주요 저서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의 주해를 위해 저술한 <여록과 보유>만은 언급하자.   우리가 알고 있는 <쇼펜하우어의 인생론>이 그 책이란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의 전조마저 느껴지는 글들..  짧은 글 속에 인생의 참맛이 들어있다.   쇼펜하우어는 이 책으로 유명해지고, 현재에도 칸트와 헤겔 보다는 일반 독자에게 더 친숙한 철학자가 되었다.  쇼펜하우어도 책의 내용과는 언행불일치였는지 성격적으로 문제가 있었다니 재밌다. 

 

그리고 이어지는 실존주의철학, 샤르트르, 카뮈, 하이데거로 마무리된다.   샤르트르의 <구토>와 카뮈의 <시시포스의 신화>는 소장하고 있는데..  이 책을 읽었으니 진입장벽을 한 계단 올라간 것 같다.  곧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