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신주의 감정수업 - 스피노자와 함께 배우는 인간의 48가지 얼굴
강신주 지음 / 민음사 / 2013년 11월
평점 :
사람의 감정들은 정말 다양하고, 각각의 감정은 하나의 단어로 규정해서 표현할 수 있구나.
이 책을 보고 새삼스레 느끼게 되었다.
게다가 각각의 감정이 하나의 문학 작품 속에서 극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니..
저자 강신주는 에필로그에서 사람이 자신의 감정에 왜 솔직하고 당당해야야 하는지에 대해 얘기한다. 현재에 충만한 삶을 누리려면 자신의 감정의 목소리를 존중하라고 말한다. 얼핏 보면 쉬운 얘기이지만 과거에 얽매여 사는 사람도 많고 미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현재를 포기하고 사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사람들이 현재에 살지만 과거나 미래에 쉬이 사로잡히는 것은 선(Good)과 악(Evil)의 평가 기준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이다. 선은 반드시 따라야만 하고 악은 내다버려야 할 어떤 절대적인 규범, 타인들의 가치 평가를 그대로 수용하기에 과거와 미래가 중요해지는 것이다.
반면에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의 목소리에 충실한 사람들은 좋음(good)과 나쁨(bad)에 따라 행동한다. 좋고 나쁨에 따라 감정은 다양하게 표출되므로 다른 사람을 의식하지 않는다.
다시말해 선과 악이라는 규범을 버리고 자기만의 기준을 따른다면 자신만의 감정을 지킬 수 있다.
저자 강신주는 우리가 자신의 감정을 따르지 않기도 하지만 다양한 감정들에 너무나 서투른 점도 꼬집는다. 우리 자신의 감정에 능통해져야 자신의 감정에 확신을 가지고, 좋음과 나쁨이라는 행동 기준을 삶에 관철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식별해야만 이에 대처하고 극복할 수 있지 않지 않을까.
스피노자의 명저 <에티카>에는 인간의 다양한 감정들을 48가지로 나누어 각각의 본질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저자는 이에 착안하여 각각의 감정을 온전히 담고 있는 48개의 문학 작품을 소개해 준다. 48개의 문학 작품 각각은 하나의 감정을 분석하고 공감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등장인물과 스토리 전개를 파고들어가 감정을 얘기해 주니 소설 48권을 온전히 읽은 것처럼 와 닿는다. 마치 문학 작품이 하나의 감정을 얘기하기 위해 씌여진 것 같다.
몇개의 소설을 소개하자면,
프랑수아 사강의 <브람스를 좋아하세요>에서, 저자는 "소심함"이라는 감정을 여주인공 폴에게서 찾아내었다. 스피노자는 <에티카>에서 "소심함은 우리들이 두려워하는 큰 악을 더 작은 악으로 피하려는 욕망이다"라고 하였다.
폴은 매력적인 연하의 남자 시몽에겐 언젠가 버려질 거란 생각 때문에 바람둥이 로제에게로 돌아간다. 시몽에게 버려질 위험을 큰 악, 로제라면 바람을 피울망정 자신에게 돌아오리라는 일말의 안도감이 작은 악이 될 것이다. 불안한 사랑보다는 불행한 안정을 선택한 것이다.
폴에게 "대담함"이라는 감정이 필요하지 않았을까.
"대담함"은 조지 오웰의 <1984>의 소시민 윈스턴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스피노자는 "대담함이란 동료가 맞서기 두려워하는 위험을 무릅쓰고 어떤 일을 하도록 자극되는 욕망이다"라고 하였다.
"빅브라더는 당신을 보고 있다"라는 슬로건이 도처에 적혀 있는데도, 윈스턴은 체제에 도전하는 대담함을 보였다. 줄리아와의 사랑이 그런 대담함이라는 감정을 가져오게 했다. 사랑에 빠진 두 사람은 빅브라더의 감시 체계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비극적으로 끝이 나게 된다.
두 사람은 대담했음을 후회했을까.
"후회"는 토마스 하디의 <캐스터브리지의 읍장>을 통해 파고들어가진다.
스피노자는 "후회란 우리가 정신의 자유로운 결단으로 했다고 믿는 어떤 행위에 대한 관념을 수반하는 슬픔이다."라고 했다.
핸처드는 술김에 아내를 경매로 팔아버리고 이에 화가나 아내는 딸과 함께 다른 남자를 따라 떠나 버린다. 핸처드는 그 후 지나친 후회로 인해 기구한 인생을 살아가게 된다. 핸처드를 실직으로 내몬 사회구조가 아니었다면 일자리를 잃지 않았다면 술독에 빠져 아내를 팔아먹지도 않았을텐데도, 핸처드는 모든 불운을 자기 탓으로 돌렸다.
저자는 후회는 자의식이 강한 사람, 자기중심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유아적인 사람들에게 자주 찾아온다며, 이런 후회의 감정에서 벗어나려면 타자의 타자성을 받아들이라고 충고한다.
소개한 책들 중에서 읽은 책들은 1/3 정도 되는 것 같다. "확신"을 파헤친 대프니 듀 모리에의 <레베카>, "경멸"을 파헤친 헨리 제임스의 <여인의 초상>, "치욕"을 파헤친 이언 매큐언의 <토요일>, "미움"을 파헤친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피아노 치는 여자>, "욕망"을 파헤친 존 파울즈의 <프랑스 중위의 여자>, "과대평가"를 파헤친 솔 벨로의 <허조그> 등 읽어보고 싶은 소설이 많다. 서평 종류의 책을 읽으면 위시리스트만 늘어난다는 폐해 아닌 폐해가 있다. ^^
이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바가 에필로그에서 저자의 소회감으로 잘 표현되어 있다.
"특히 내게 고마웠던 것은 위대한 작품이란 어떤 특정한 감정의 아우라에서 펼쳐진다는 것을 가르쳐 준 48명의 위대한 문학자들이었다. 그래서 나는 배웠다. 위대한 문학은 하나의 감정을 깊게 파고들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반대로 말해 위대한 작품은 하나의 감정이라는 자장에 모든 등장인물과 사건들을 포섭한다는 사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