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전쟁을 일으키는 것은 남자이고 그 피해자로만 알았던 여자..
여자들의 전쟁 참혹사인줄 알고 펼쳐든 책에서는 여자들의 참전 이야기들이 쏟아졌다. 세계 제2차 대전을 일으킨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병사의 수를 충원하기 위해 18살 이상의 소녀들까지 동원된 것이다.
2015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대표작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는 참전했던 500여명의 여성의 목소리를 녹취해서 글로 펴낸 "목소리 소설"이다. 이 책은 여성들이 말하는 문체 그대로 서술되어 전쟁터를 생생하게 묘사한 다큐멘터리 산문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저자는 전쟁의 역사가 아닌 감정의 역사를 쓰길 원했다. 전쟁의 목격자나 참전자의 이야기를 통해 살아나는 그런 역사를 문학으로 만들고 싶었다. 여자 참전자이기에 가능했던 생생한 전쟁터 이야기는 이렇게 탄생했다.
여자들의 에피소드는 그동안 전쟁에 대해 익히 들어왔던, 영웅적인 이야기, 승리의 이야기, 어떻게 패배했는지, 어떤 기술이 사용되었는지 따위의 내용들과는 전혀 다르다. 많은 시간이 흐른 후에야 꺼낼 수 있었던 여자들의 전쟁터 이야기이다. 그 일을 떠올리는 것은 끔직했지만 기억하지 않는 것이 더 끔직하므로 인터뷰에 응했고, 그 일을 잊어버리지 말기 바랬다.
조국을 사랑했기에 조국을 지키는데에 남자 여자가 없다고 생각했을까. 여자들은 자진해서 입대하고, 통신병, 간호병 보다는 전선에 투입되길 원하기도 했다. 전쟁터에서의 여자들은 죽음에 대한 혐오와 두려움을 감추고, 여자임을 잊지 않으려고 했다. 구두와 분통 눈썹 화장 같은 여성스러움을 포기하지 않았다.
사랑하고 사랑받아야 하는 여자들의 전장에서의 사랑은 로맨틱할 수 없었다. 전후의 사랑은 사랑하는 법을 잃어버렸다. 전선에 있었던 여자는 신부감으로 원치 않았기에 결혼도 힘들었다. 그래서 여자들은 전쟁의 수훈을 세웠어도 숨길 수 밖에 없었다. 사람을 죽였다는 것은 나이들수록 생각나 삶을 힘들게 했다.
많은 에피소드들이 수록되다 보니 반복되는 부분도 없지 않았지만, 사랑과 가족 이야기를 적절히 배치하여 독자의 감동을 자아내게 한다. 모든 이야기들은 단편 소설의 소재가 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애절하기도 하고 참혹하다. 여자들은 생명을 탄생시키는 존재가 아닌가. 그러기에 여자들은 사람을 죽이는 일을 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