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정신과 의사 이라부의 유쾌한 처방..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이 대부분 유쾌하다지만 이건 너무 유쾌하다.   행간의 의미같은 건 찾을 필요 없이 앉은 자리에서 가벼운 마음으로 뚝딱 읽어 치울 수 있다.  가볍게 읽을만 하면서도 인간 내면을 파고들어가는 얘기는 가볍지만은 않다.    

 

인간의 정신과 신체는 서로 밀접한 작용을 한다.  정신의 병은 신체에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이 소설에서 이라부의 병원에 찾아온 다섯 환자는 모두 정신적인 압박감으로 인해 이상한 증상을 보인다.  야쿠자는 칼날에 대한 압박감으로 선단 공포증이 생기고, 공중 그네 서커드 단원은 잘 알지 못하는 상대에 대한 무의식적 거부반응으로 새로운 단원과 서커스 호흡이 맞지 않아 실수를 연발하다.  이라부의 대학동기 정신과 의사는 병원장 사위가 되면서 억압된 장난끼는 장인의 가발을 벗기고 싶다는 충동으로 분출되고, 3루수 야구선수는 치고 올라오는 젊은 루키 선수때문에 심리적인 압박감으로 공을 제대로 던지지 못한다.  여류 작가는 과거에 썻던 소재가 아닌가 하는 불안감에 휩싸여 심인성 구토증에 글도 쓸 수가 없다. 

 

이라부는 환자들이 찾아오면 무조건 비타민 주사를 맞추게 한다.  플라시보 효과를 노린건가.  그리고 환자들의 직업과 얘기를 들어보고 아이와 같은 순수함과 충만한 호기심으로 환자들의 직업에 직접 뛰어든다.  야쿠자가 상대해야 하는 상대편 야쿠자를 함께 만나주고, 서커스단원의 공연장에 직접 가서 서커스 훈련을 받고, 대학동기가 장인의 가발을 벗기는 장난을 실행에 옮기도록 도와주고, 3루수 야구선수와는 함께 공을 주고받는 연습을 하고, 여류 작가에게는 글을 써서 봐달라고 한다.   새로운 분야에 거부감 없이 시도하고, 실패에도 두려워하지 않고 행동에 거리낌없는 모습은 영락없이 어린아이의 모습이다.  

 

환자들은 이라부가 환자들의 직업을 경험하면서 어리숙하고 엽기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에 마음을 열고 속마음을 털어놓기 시작한다.   이라부는 환자들의 초심을 건드릴려고 했던 것일까.  환자들에게 기본적인 어린아이 같은 질문을 던져서 원초적인 것 부터 생각해 보게 한다.   특별한 처방은 없어도 환자는 혼자 질문하고 혼자 생각해 보면서 자신만의 극복법을 찾게 된다.  억압이나 압박의 상대였던 대상과의 소통이 마지막 문제 해결의 돌파구가 되기도 한다.  작가는 자신의 삶에 자신있게 맞서는 것은 본인의 능동적인 힘으로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