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날 위의 삶 - 뇌종양 전문 신경외과 의사가 수술실에서 마주한 죽음과 희망의 간극
라훌 잔디얼 지음, 정지호 옮김 / 심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날 위에서는 모든 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의사가 휘두르는 메스 앞에서 우리의 삶 또는 생명과 죽음을 넘나든다. 거대한 질병 앞에선 우리들에게도 칼날 위의 춤은 중대사이지만, 항상 그런 중환자들 앞에서 칼날 위에서 춤을 춰야하는, 어떻게 보면 희생양이라고 할 수 있는 의사가 경험하게 될 고통 또한 만만치 않을 것이다. 이 책은 그런 고통 속에서 환자들에게 희망과 절망을 주었던 한 의사의 내면의 성찰에 대한 기록으로 보면 될 것 같다.

의사는 외과의사로서, 중병을 겪고 있는 환자를 위한 무서운 수술을 담당한다. 사지를 절단하거나 척수를 만지는 등, 이 의사가 하는 일은 일반 외과들보다는 더 죽음에 가깝게 다가가 있다. 만약 이 의사를 병원에서 만난다면, 그 환자는 이미 어느 정도 사선가까이에 와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 의사를 만난 환자들은 몇 년 안에 모두 죽는다. 저자는 환자들을 통해 고통과 절망, 감사와 희망을 느낀다. 때로 자신의 실수로 인해 한 생명이 하반신 불구로 살아야 하는 고통을 당하기도 하고, 깊은 고민을 등한시 한 하지 절단으로 어떤 환자는 상체만으로 살아야 한다. 비록 환자 본인이 원했다고는 하지만, 환자 또한 하체가 없는 삶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본 적이 없다. 결국 더 많은 경험이 있는 의사들의 신중한 선택이 중요한데 그런 부분에서 저자는 때로 깊이 있는 고민을 하지 않은 자신을 반성한다.

환자들 대부분이 사선 근처에 머물며 삶을 바라보는 사람들이라, 일반적이진 않지만 누구나 경험할 수 가능성이 있는 일들이다. 그 과정 중에서 의사가 겪는 트라우마 또한 상당할 것이다. 의사들은 나름대로의 트라우마를 겪는다. 그 트라우마를 어떻게 치유하느냐가 결국 자신의 삶과 의사로서의 삶에서, 칼날 위에서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전에 감명깊게 읽었던 책에서는 저자가 거리 두기를 제안했다. 너무 깊이 환자 속으로 들어가지 말란 말이다. 이게 제일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