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짧은 우주의 역사 - 빅뱅 이후 138억 년
데이비드 베이커 지음, 김성훈 옮김 / 세종연구원 / 2023년 11월
평점 :
이 책은 우주의 시작, 빅뱅으로부터 현대 인류의 역사, 그리고 아주 먼 미래의 일까지 우리에게 설명해 주고 있다. 우주 역사에 대한 거시적인 안목을 한 권의 책으로, 그것도 300페이지 되는 적은 분량으로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그래서 이야기는 박진감 넘치고 재미있다. 책 자체가 보기 편하게, 천문학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는 사람도 읽는 데 아무런 방해가 없을 정도로 쉽게 소개되고 있다.
천문학에 대한 관심이 있는 만큼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지구의 탄생까지의 역사는 재미있다. 특히 일세대 항상과 이세대 항성의 초신성 폭발로 지금의 태양인 삼세대 항성이 탄생했고, 앞서 일, 이세대의 폭발이 있었기 때문에, 결국 우리들이 존재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우리 모두는 별의 자녀들인 셈이다. 그리고 우주 전체의 에너지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 빅뱅 시 미세한 변화로 인해 10억 분의 1 이하로 물질이 발생했고, 그 물질 안에 에너지들의 활동이 활발하지만, 결국 이 모든 에너지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일해 지면서, 우주는 결국 종말을 맞게 될 거라는 이야기는 다른 데서 보지 못한 부분이라 흥미로웠고, 재미있었다. 에너지가 우주 내에 균일해진다는 건 결국 결국 에너지로 충만한 세상 속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는 에너지의 고갈과 마찬가지인 셈이다.
한반도의 크기는 22만제곱키로미터이다. 우주 내 물질은 10억분의 1 비율로 존재하고 있다. 이 말은 우리 가족이 밥 먹을 때 먹는 식탁만한 물질이 있다면, 이와 비례해서 한반도의 다섯 배나 되는 빈 공간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그만큼 우주에서 물질이 존재하는 비율은 희박하다. 그리고 그 물질들 속에서 급격한 에너지 활동이 존재하고 있는 셈이다.
천문학은 인간이 얼마나 나약한지 하지만 얼마나 위대한지를 보여준다. 그래서 천문학은 철학과 일맥 상통하는 부분이 있어 보인다. 우주를 보면 싸우면서, 스트레스 받으면서 생활하는 우리의 삶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