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우주의 첫 순간 - 빅뱅의 발견부터 암흑물질까지 현대 우주론의 중요한 문제들
댄 후퍼 지음, 배지은 옮김 / 해나무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우리 우주의 생애에 대한 책이다. 책의 맨 처음 두 번째 줄에 나오는 "거의 모든 것이 미스테리다"라는 말이 마음에 든다. 이걸 전제로 우주에 대해 써야 하는 게 맞다고 본다. 모든 것이 미스테리다. 우리는 모든 것을 과학이라는 미명하에 설명하려 하지만, 지금 과학 자체가 의심과 회의 속에서 방황하고 있는 상태에서, 어떤 것이 정확한지에 대한 과학적인 결과를 어떻게 완전히 믿을 수 있겠는가. 양자역학은 지금까지의 모든 과학과 연구에 의심을 갖게 해 주기에 충분하다.

이 책의 맨 처음에 아인쉬타인의 글이 언급되고 있다.

"자연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사자의 꼬리뿐이다. 그러나 전체가 한 눈에 다 보이지 않더라도, 그 꼬리 끝에 사자가 달려 있다는 사실만큼은 의심스럽지 않다."

끝까지 양자역학을 부인한 아인쉬타인이기에 이런 말을 할 수 있었다. 우리가 아는 꼬리의 종류가 얼마나 될까? 그리고 그 꼬리 중에 가장 사자와 달았다고 해서, 그것이 사자의 꼬리라고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 증명이 참인가? 우리 과학이 어디까지 어느 수준까지 증명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 증명은 100% 참이 될 수는 없다. 100% 참이란 존재하지 않으니까. 사자의 꼬리라고 가정하는 것 자체가 하나의 국한적이고 폐쇄적인, 경험적인 한계를 드러낼 뿐이다. 인간이 갖는 오만과 독선이 이 글 속에는 포함되어 있는 셈이다. 저자가 이 글을 언급할 때는 사자를 의심하지 않기 위해서였지만, 나는 이 글 속에서 사자를 의심할 수 밖에 없고, 이런 의심이 오히려 더 현대의 과학적인 인식에서는, 그리고 지향적인 미래를 바라본다면 더 바람직한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결국 미스테리에 대한 인간이, 지금까지 인간이 추론하고 경험하고, 고민하던 지금까지의 우주에 대한 sf픽션이다. 그럼에도 이 책은 잘 쓰여졌다. 서론이 길어졌지만 내용은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다. 지금까지의 우주에 대한 지적인 누적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물론 그렇다고 이 책을 모두 신빙성있게 바라볼 필요는 없겠다. 우리 마음 속에는 각자 자기의 우주가 있다. 인간의 개체만큼 우주가 존재하고, 내가 죽음으로 하나의 우주가 사라진다. 이 우주 속에 인간이라는 존재로 살아가면서, 우주를 바라보고 마음에 품을 수 있다는 것, 얼마나 경이롭고 놀라운 일인지 모른다. 우리는 정말 특별한 존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