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보는 블록체인 - 블록체인 비즈니스와 데이터 전략
이고르 페직 지음, 김민경 옮김 / 유엑스리뷰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블록체인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도 비트코인은 안다.

처음으로 비트코인을 접한 게 17년 11월이었다. 그 때 리플이 40원이었더 기억이 난다. 한 때 천원인근까지 갔던 리플은 지금도 600원은 넘는다. 결국 그 때 산 것을 지금까지 갖고 있다면 누구나 다 부자가 됐을 것이다. 당시 대회에 이기면 가상화폐를 대신 주기도 했는데, 그 때 받은 가상화폐를 안 팔았다면 역시 수억, 수십억이 되는 놀라운 마술이 벌어질 수 있는 상황에 우리는 모두 살고 있다.

누군가는 이 십년도 안 되는 짧은 순간에 벼락부자가 되기도 했고, 누군가는 모든 것을 잃기도 했다. 대다수는 잃었고, 그러면서도 하고 있다.

그 때 블록체인에 대한 책이 처음 나오기 시작해서 책을 사서 봤던 기억이 난다. 당시의 책들은 블록체인 초창기였기에 내용도 어설펐고, 여러가지 정보들을 짜집기 한 듯 한, 모든 것이 열정적이고 정열적인 글들로 넘쳐나는, 자극적인 책들이었다. 결국 사라는 말이었다. 물론 그 때 샀으면 다들 대박났긴 했겠지만... 아뭏튼 책 자체의 내용은 그리 정밀하지 못했다.

그리고, 적지 않은 시간이 지나면서, 이제는 이전보다 더 체계화되고 객관적으로 블록체인을 바라보는 책들이 많이졌다. 내용적으로 성숙해졌다고 보면 되겠다. 물론 가사화폐에 투자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책들을 거의 읽지 않는다. 정말로 블록체인의 미래를 바라보고 투자하는 사람들이 극소수라는 말이다.

이 책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장단점과 지나온 과정들, 그리고 향후 우리에게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날지에 대해 나름대로 그나마 객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물론 전체적인 내용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단순히 긍정적인 것이 아니라 뭔 가 더 체계적이고 묘사적으로 설득력있게 우리에게 다가오기 위해 노력했다는 생각이 든다. 가상화폐와는 별개로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은 앞으로도 더욱 발전해서 보안을 한 단계 더 성숙시켜 줄 것은 누구도 의심하지 않는다. 그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파생되는 암호화폐를 두고 벌이는 국가간, 또는 조직간, 또는 거대 자본간의 암투와 조작이 있긴 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블록체인의 미래를 암담하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는 좀 더 블록체인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가 됐다고 본다. 투자로서가 아니라 보안의 본질적인 측면을 바라보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