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 뇌과학과 신경과학이 밝혀낸 생후배선의 비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각자의 세계에 살고 있다. 우리 하나 하나는 모두 개별적이고 주체적인 존재이고, 우주적인 존재이다. 내가 있음으로 우주가 있고, 지구가 있고, 가족이 있다. 내가 인지함으로 세상이 존재하고, 내가 죽음으로 모든 것이 끝난다.


내가 삶의 주인공이라는 사실, 내가 세상의 중심이라는 사실은, 내가 죽어도 일상적으로 무심히 흘러가는, 내가 좋아하는 부모님이 돌아가셔도 세상은 어느 때처럼 아무 일 없듯이 돌아간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세상을 다른 사람 기준으로 바라보면 안 된다. 모든 것은 나 자신을 기준으로, 내가 중심이 되어 세상을 바라 봐야 한다. 이는 단순히 이기적으로 세상을 살라는 말은 아니다. 이보다 더 깊이있고 의미있는 말이다.


이 책 또한 책 제목을 보면 이런 사상이 근저에 있음을 알게 된다. 우리는 모두 각자의 세계 속에서, 각자만의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나 이외의 모든 이들은 조연이고, 무대 장치일 뿐이다. 이 책의 저자는 우리의 경험, 우리의 인간 관계, 수많은 관계가 다양한 뇌의 성숙을 가져온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우리는 모두 같은 뇌를 갖고 있지만, 선천적인 뇌에 후천적인 경험을 더해 자신만의 뇌를 갖게 된다. 즉 자신만의 세상을 구축하게 된다.


그래서 저자는 크릭이 DNS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했다 해도, 그것이 온전한 나 자신이 아님을, 나 자신은 그 DNS 속에서 경험하는 모든 일들, 만지고 느끼고 생각하는 모든 일들, 사랑하고 미워하는 모든 사람들안에서 나 자신의 온전한 모습일 발견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결국 저자는 온전한 경험주의자이다. 어느 면에서는 흄의 사상, 즉 자아라는 것은 기억의 누적이라는 표현이 보이기도 한다.


우리는 뇌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생각할 수 없고 인지할 수 없다. 육체의 정점이 뇌이고, 이 뇌에서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 우리가 믿는 사랑이나 마음, 도도 물론 뇌를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육체에 종속된 존재인가? 우리가 믿는 마음은 단지 육체에 종속된 것일까? 여기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육체의 한계를 인지하면서, 개인적인 성찰로 자신만의 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마음이 육체보다 나를 더 본질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믿는다. 물론 마음도 뇌의 뉴런의 작용일 것이다. 하지만, 뉴런의 작용이라고 해서, 내 마음을 육체 안에 가둘 생각은 없다. 파스칼은 인간이 얼마나 나약한 존재인지 말하면서도, 우주를 마음에 담을 수 있는 위대한 존재라고 했다. 결국 우리의 위대함은 쉽게 저무는 육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육체에서 비롯된 작은 꽃들 속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뇌. 인간을 인간되게 하는 것이지만, 그 속에서 각 인간마다 수많은 변용과 변태가 일어나며 우리는 존재하고 있다. 수많은 관계 속에서 다양한 뇌들이 모여 새로운 가치와 믿음을 형성하며 인간은 성숙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