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에서 온 남자 울릭 - 프랑수아 를로르 장편소설
프랑수아 를로르 지음, 지연리 옮김 / 열림원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40대 이상인 애서가에게 

'꾸뻬 씨의 행복 여행'은 그닥 낯설지 않은 책일 거 같아요.

저도 제목은 정말 많이 들어 보았는데, 

어쩌다 보니 아직 읽지는 않았습니다.


이 책은 '꾸뻬 씨의 행복 여행'을 지은 작가, 

프랑수아 를로르의 작품입니다.

이 책에도 꾸뻬 씨가 등장해요.^^

정신과 의사인 꾸뻬 씨는 아마도 작가의 페르소나겠지요.


우리나라에서는 2021년 출간되었지만, 

원작은 약 20여 년 전에 쓰여졌네요.

그래도 현재의 시대 감각과 다른 것이 안 느껴지는 것을 보면, 

이 책에서 다루는 '사랑'과 '외로움'이라는 주제는 

그저 사람 사이의 영원한 테마인가 봅니다.  



책의 줄거리는 단순합니다.


북극에 사는 이누크 울릭은 유네스코의 초청을 받아 프랑스에 오게 됩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누이트의 문화를 알리는 친선 대사인 것이죠.


이 이벤트의 이면에는 각각의 셈이 있습니다.

울릭 자신은 약혼녀인 나바라나바와의 파혼을 되돌리려 자청해서 온 것이고,

울릭의 초청과 체류에 돈을 댄 것은 북극에서 석유를 시추하려는 석유회사입니다.

석유회사는 울릭을 이용해 환경을 파괴한다는 비난을 피해보려는 것이었습니다.


부족과 모든 것을 함께 하는 울릭은, 곧 극도의 '외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유네스코 측 자신의 담당자인 마리 알릭스네 집에서 지내게 되지요.


각기 깊은 외로움을 지닌 울릭과 마리는 애인 사이가 되고,

울릭은 방송 출연,강연회 초청, 석유회사의 광고 등 일정을 소화하며 유명인이 되어 갑니다.


이누이트 고유의 남자와 여자의 성 역할과 사랑에 대해 한 치의 의심도 없이 살아왔던 울릭은,

현대의 프랑스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생각에 적지 않은 혼란을 겪게 됩니다.


남녀 평등의 문제, 고독의 문제, 경제적 자유의 문제 등 많은 문제에 대해,

자기와는 다른 생각과 고민들을 들으며 조금씩 이해의 폭도 넓혀 가고 스스로의 내면도 들여다 보게 되네요.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는 울릭은 적당한 타협(?)을 하게도 됩니다.

고향은 자본주의의 침입과 횡포로 이전의 고향이 아니게 되었거든요.






이 책은 어느 문화권의 삶이 더 낫다거나,

정답을 찾는 책이 아닙니다.


반복되어 제시되는 문제는 외로음과 사랑입니다. 

여러 종류의 외로움, 

혼자라서 외롭고 

함께 해도 서로를 이해하지 못해 외롭고,

내가 사랑하는 이가 나를 사랑하지 않아 외롭고.


그리고 그 외로움을 달래는 다양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친구들을 찾기도 하고,

젊은 애인을 찾기도 하고, 

외롭지 않다고 스스로를 세뇌하기도 하고. 


외로움이며, 사랑에 대해

 더 많은 논쟁이 가능하겠지만,

정신과 의사인 작가로서는 가장 강력한 마법인 

남녀 간의 '사랑'에 주목해서 이야기를 진행합니다.



결국 사람은,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 문화를 위해서는

드높은 자긍심도 내려놓을 수 있나 봅니다.

또한,

열심히 지키던 것을 잃게 되면 

한 순간에 무너져버릴 수 있는 존재이기도 하고요.



한없이 따뜻하면서도,

내내 생각케 만드는 소설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