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학교 분투기 - 내 교육을 방해한 건 학교 공부였다!
토니 와그너 지음, 허성심 옮김 / 한문화 / 2021년 3월
평점 :
절판
저는 아이를 기르며 늘 새로운 교육서를 읽어보는 엄마입니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며 공교육에 대한 실망이 점점 커져 가고 있기도 하고요.
아이가 제도권에서 공부하기를 바라는 가족 분위기에 따라 학교에 보내고는 있지만, '서머힐'이나 홈스쿨링에 대한 미련을 버릴 수가 없네요.
이런 저의 눈에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다가 세계적 교육혁신가가 되었다는 저자의 책, '나의 학교 분투기'가 눈에 띈 것은 당연했습니다.

이 책의 저자 토니 와그너는 미국 교육정책연구소의 선임연구원입니다.
하버드교육대학원 졸업 후 20여 년간 하버드에서 교육과 리더쉽 관련 업무를 진행했고, 현재 빌 앤 멜린다 게이츠 재단 고문이며 전 세계를 다니며 교육 혁신과 리더쉽관련 강연을 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이런 화려한 경력과 활동의 교육가가, 어린 시절 틀에 박힌 공교육에 흥미를 못 느끼고 대학교까지 퇴학과 전학을 반복하다가, 스스로 공부하고픈 것을 찾아 최고의 교육을 받게 되는 과정을 적은 회고록입니다.
이 책의 앞 쪽에 저자의 멘토 중의 한 분이 공교육을 이렇게 평합니다.
p. 100~101
요즘 교육 동향을 보면 많은 아이들에게 성공보다는 한계, 심지어 실패에 대한 전망을 가르치고 있다. 몇몇 공립학교를 찾아가서 살펴보라. 20퍼센트의 아이들은 성공하는 법을 배우고, 80퍼센트의 아이들은 제한되는 법을 배우고 있다. 다시 말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인지를 배우고 있다.
또한 이 멘토는 교육의 목적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p. 107
1. 성공에 대한 기대감
2. 앞날에 대한 두려움 없는 전망
3. 사그라지지 않는 희망
4. 끝까지 관철시키려는 욕구
이 부분은 아이를 학교에 보내며 저 또한 극히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학교며 사회며, 아이에게 도전과 희망을 강요하지만 실제로는 두려움과 실패를 가르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지금과 같은 시스템의 교육에서는 성공하는 소수와 열패감을 느끼는 다수로 줄 세워질 수 밖에 없네요. 학교에서 하는 공부도 앞으로의 세계에 살아가기에 필요한 공부인지 의심스럽기도 합니다.
저자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방식의 일방적인 수업과 단순 지식의 암기를 싫어했습니다. 교사들의 냉혹한 평가에 상처도 많이 입었구요.
하지만 저자는 사실 열정적인 학습자였습니다.
관심을 가진 분야는 스스로 찾아서, 깊이 공부했습니다.
다만 그 분야가 학교에서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교육의 틀에 맞지 않았던 게 문제였지요.
저자는 여러 학교를 전전했지만 잘 적응할 수 없었고, 부모님은 아들에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지요. 저자는 마침내 대학교를 중퇴하고 음식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지냅니다.
그러다가 저자는 자기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교육을 더 받아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p. 126
차라리 잘된 일이었다. 무미건조하게 최저 임금을 받고 일하는 것은 이제 충분히 경험했다. 나는 내 자신에게 '진짜 세상'에 대해 배우겠다고 말하면서 대학을 그만 뒀다.
게다가 이곳에서 오토바이를 타고 여기저기 누비고, 햄버거 빵을 굽고, 얼마 없는 여가 시간에 일기를 쓰는 식으로는 내가 꿈꾸던 작가가 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책 전체에 걸쳐서 많은 부분이 민권 운동에 헌신하게 되는 저자의 경험이 담겨 있습니다.
대학에서 장발인 학생이 퇴학당한 것을 목도한 이후로, KKK단에 저항하는 시민 단체에 합류하게 되고, 양심적 병역 거부도 하게 됩니다.
저자는 정치적 행동 중에 많은 인물을 만나게 되고, 어느 날 가르치는 일에 대해 고민하게 됩니다.
p. 234~235
간디의 아쉬람에서 성장한 나라얀 데사이에게 '혁명'이란 무엇인지 묻자, 창밖의 따뜻한 오후를 한참 바라보던 그가 마침내 조용하면서도 엄숙한 목소리로 대답했다. "혁명이란 개인의 덕목이 사회적 가치로 변환되는 역동적인 과정입니다.'
학교 교육이 우리에게 혁명을 준비시켜준다면 어떨까? 나는 생계 수단이 아닌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가르치는 일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저자는 교육자가 되기 위해 하버드 교육 대학원에 진학하여 독립 연구를 하고,
지역 학교의 교장이 되어 처참한 실패를 하기도 합니다. 오히려 공공 재단을 구성하고 기금을 모으는데 더 재능이 있는 것도 같았지만 고등학교 교육을 변화시키고 싶은 마음에 하버드 교육학 박사 과정을 다시 공부합니다.
그리고 교사들과 함께 성공적인 여러 교육 프로젝트를 실행하며,
무엇을 배워야 하고, 무엇이 가장 좋은 학습 방법인지를 끊임없이 연구합니다.


저는 공교육에 아이를 맏기고 있는 학부모로서 저자의 많은 생각에 동의합니다. 제도가 아이의 잠재력을 억누르고 실패를 가르치고 있는 증거는 너무도 많습니다. 그렇다면 아이의 능력을 활짝 꽃피울 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를 고민하는 제게 이 책은 많은 생각거리를 전해 주었습니다.
항상 자연과, 사회와 함께 할 것,
아이의 흥미의 싹을 자르지 말 것,
아이가 꾸준히 글을 쓸 수 있도록 독려할 것,
어느 순간이라도 따뜻한 눈으로 지켜보며 절대적인 지지자가 될 것.
교육에 관해, 그리고 인권에 관해 관심깊으신 분께 권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