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2년 구상, 1951년 소련의 전체주의적 양상이 조금씩 세상에 드러나던 시기에 발표함
그의 작품들에는 어떤 ‘윤리적인 요구’가 관류하고 있다. (민음사 532p)
반대로 1905년의 테러리스트들은 오직 폭군을 저격할 뿐이며, 테러리스트 자신의 목숨으로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믿는다. 여기서 우리는 이 살인적 행동이 ‘예외’에 속하며 ‘한계’를 존중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560p)
딜레탕티슴: 어원은 이탈리아어의 딜레타레(dilettare:즐기다)이다. 딜레탕트(dilettante)는 ‘즐기는 사람’을 뜻한다. 따라서, 원래 딜레탕트란 예술이나 학문(특히 음악) 중에 하나 또는 모두에 대한 열렬한 애호자를 의미하는 말이다. 현재는 예술이나 학문을 자기의 천직으로서가 아니라 도락으로 즐기는 사람을 의미하며, 또한 예술이나 학문에서 하나의 정립된 입장을 취하지 않고 다만 이것저것을 즐기는 사람을 뜻한다.
딜레탕티슴이란 이러한 태도를 말한다. 딜레탕티슴에서 애호의 대상인 예술이나 학문이 추구하는 가치를 향하여 자기자신을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그 예술이나 학문의 과정을 즐기려고 하는 것이므로 딜레탕티슴에 의해서는 예술이나 학문의 의미와 가치가 이해되지 않으며 또한 왜곡되기 쉽다.
[네이버 지식백과] 딜레탕티슴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