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어도 읽은 게 아니야! - 핵심을 파악하고 생각을 더하며 읽는 방법
이승화 지음 / 시간여행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라딘에서 책읽기/글쓰기 카테고리를 자주 보는데, 거기서 발견하고 도서관에 희망도서 신청해서 읽게 된 책이다. 쉽고, 친절하고, 구체적이고, 실용적이다. 완벽하진 않아도 최고. 재미도 있다. 책을 읽는 사람도 조언을 얻어갈 수 있다. 책 안 읽히면 승질내며 머리 뜯는 나에게 도움이 되었다.


이 책은 실제 코칭 사례를 많이 담았고, 비문학 사례가 많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비문학에 좀 더 특화되었기는 한데 소설 독서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마음 같아서는 이 책을 샅샅이 요약하고 싶다(ㅋㅋ) 신기한 게 다른 실용서, 자기계발서들이 사실상 잘 뽑은 목차만 보면 족한 경우가 왕왕 있다. 주로 정독하는 독자인 내가 다른 실용서, 자기계발서에게 실망하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반면 이 책은 설명이나 제시한 구체적인 사례도 봐야 한다. 결국 정독하는 게 좋다는 소리지만, 그래도 내 리뷰로 이 책을 떼는 게 아니고 내 리뷰가 시작이 되었으면 해서 간단하게 적는다.



1장 읽기란 무엇인가?

저자는 읽기를 소통이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꼭 글이나 책을 읽는 것에 국한하지 않는다. 대화도, 광고 문구를 이해하는 것도 읽기의 영역이다. 이 책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독자가 글도 일상의 대화도 잘 이해하고 소통하는 거라고 독자인 나는 생각한다. 이를 위해 실용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2장 어휘력과 배경지식을 기르는 법

이 장에서는 단어를 분석하고 문장을 이해한다(이게... 이렇게 써 놓으면 '응? 뭐임?'하는데 직접 보면 일리가 있음.) 어휘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도 제시하는데, 낯선 어휘를 체크하고 중요도를 판별하는 건 나도 가슴에 품고 살아야 하는 말이다.(^^) 배경지식 기르는 법 중 하나는 어린이, 청소년 대상으로 한 책을 읽는 것인데, 이건 나도 썼던 방법이다. 추천한다.

여기서 유익했던 것!!! 배경지식이 많은 건 좋지만, 너무 많으면 세세하게 파고 들다가 큰 그림(글의 의도)을 놓칠 수 있다. 과유불급이다.


3장 핵심을 찾고 내용을 요약하는 법

글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게 있고 안 중요한 게 있으니 결국은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 이때 제목을 길잡이 삼아서 하면 좋고, 메모나 플래그 붙이기 등 흔적을 꾸준히 남긴다. 그리고 글에서 핵심 키워드는 꾸준히 반복하게 되므로 이 키워드들을 찾아 연결해서 요약 및 정리할 수 있다.

이 메시지를 뽑고 정리할 때 내 주관이 강하게 반영되어 정작 작가의 메시지와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가슴에 새겼다... 리뷰 쓰면서도 경계하고 조심하게 되는 부분이다...


4장 글의 구조, 숲과 나무 함께 보기

문학, 비문학, 실용서 및 자기계발서에 따라 읽는 포인트가 다르다. 그 포인트를 제시했다. 글의 구조와 전략을 파악한다. 이 부분은... 직접 읽으면 좋겠다. 글의 구조는 두괄식이냐, 미괄식이냐 혹은 주제나 조직 구조는 어떻게 되느냐, 이런 걸 말한다. 글의 전략은 글쓴이가 자기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잘 전달하기 위해 쓰는 전략을 뜻한다. 자기 경험을 넣었는지, 예를 들었는지, 인용이나 비유를 했는지, 통계를 가져왔는지 등. 이런 전략을 쓴 글을 읽을 때 독자로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점도 알려준다. 


5장 '진짜' 의미를 파헤치는 법

앞뒤 맥락을 읽고 속담, 사자성어 등으로 상황과 맥락을 파악하라고도 하지만, 내가 개인적으로 유용하다 싶었던 건 객관과 주관을 분리하는 방법이었다.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고, 텍스트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와 독자의 가치관을 분리하는 것. 앞서 썼지만 책 읽고 리뷰 쓰면서 많이 경계하고 성찰하게 되는 부분이다. 문제는 경계까진 가능한데 성찰에서 발견을 못한다. (...) 아직 갈 길이 먼 독자다.


6장 나만의 생각을 더하는 법

자유롭게 감상 나누기, 비판적으로 접근하기, 창의적으로 제안하기, 질문하며 읽기, 마지막으로 삶에 적용하기. 이렇게 다섯 파트가 있다. 내가 분류하지 않고 던지는 생각들에 이름이 붙어서 좀 더 명확해졌고 이로 인해서 앞으로 그 이름값에 더 걸맞는 생각을 내놓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삶에 적용하는 것은 아무래도 읽은 책이나 책의 목적에 따라서 갈릴 것 같긴 하다.



나는 어렸을 때부터 책을 읽었고 그 습관을 계속 갖고 있다. 읽고 쓰기를 제대로 배운 적도 없고 디지털 읽기의 문제도.(ㅜㅜ) 있으니 이런 책으로 정신머리 바짝 잡는다. 여담이지만 글... 꼼꼼하게 읽고 정리도 하고 싶은데 읽을 책도 많고 시간도 없으니 리터러시 연마(ㅋㅋ)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듯. 폐관수련이라도 해야겠다.

제1장에서는 읽기의 개념을 정리하며 체계적 읽기의 중요성을 알려줍니다. 말귀와도 관련이 있어요. 제2장은 많은 분이 관심 있는 어휘력과 배경 지식 기르는 방법을 전해요. 정리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제3장은 읽기의 꽃, 내용 요약과 핵심 메시지 찾기입니다. 통찰력을 기르는 과정이에요. 제4장은 시야를 넓혀서 글의 구조와 전략을 파악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대표적인 패턴만 알아도 독해에 큰 도움이 돼요. 제5장은 상황과 맥락을 통해서 숨어있는 의미를 파헤치며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호락호락하지 않은 글을 상대할 때 중요한 마음가짐이에요. 제6장은 나만의 생각을 더하는 방법입니다. 쓰기와도 깊은 관련이 있어요. - P7

(...) 과유불급! 배경 지식도 적절히 조절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P93

조심할 것은 키워드는 글에서 뽑고, 핵심 메시지를 내 머리에서 뽑는 상황입니다. 기본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하려는 노력, 작가가 말하는 메시지를 찾아야 하는데, 내 머릿속에서 해석해 만들어낸 메시지를 꺼내는 문제가 종종 생깁니다. 글을 다 읽은 후, 주관적 감상이 강력하게 반영되어 전체적인 맥락을 놓치는 것이지요. 코칭 사례에서 만나 보겠습니다. - P107

글을 오래 탐구할수록, 배경 지식이 많을수록, 자주 하는 실수 중 하나가 과몰입입니다. 요약·정리하면서 과도한 해석, 주관적인 생각을 첨가하는 것이지요. 그런 분에게 항상 ‘생각의 출처‘를 물어봅니다. 그리고 웬만하면 출처를 텍스트 안에서 찾으라고 합니다. 과도한 추론과 억측, 선입견과 편견이 맞물려 의미를 왜곡하거나 창출하는 일도 많거든요. 요즘 말로 ‘뇌피셜‘입니다. 공식적인 의견을 뜻하는 ‘오피셜‘, 작가가 말하는 ‘작가피셜‘과 다르게, 나의 ‘뇌‘에서 나온 주관적인 의견이라는 뜻이지요. 여기선 텍스트가 기준이니, 꼼꼼하게 챙겨야 합니다. - P116

문학 작품을 읽을 때 주관적인 느낌, 인상적 평가에 그치지 않고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싶을 때 이런 틀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시간/공간적 배경 묘사는 잘 되었는가? 작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인물의 대사와 행동이 성격을 반영하는가? 사건이 너무 작위적이지 않은가?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일까? 주제 의식이 잘 담겨 있는가? 문체는 읽기 적당한가? - P130

지식 중심으로 읽을 때 K.W.L. 전략을 활용합니다. 내가 알고 있는 것(Know), 내가 알고 싶은 것(Want to know), 알게 된 것(Learned)을 나누어서 보는 것이에요. 포인트는 목적 달성, 문제 해결의 관점입니다. 내가 알고 싶은 것을 알 수 있는가, 이런 부분이 충족했다면 성공적인 독서 경험을 갖는 것이지요. 그래서 비문학은 독자의 니즈가 명확할수록 효과적인 독서가 가능합니다. 여러분도 비문학 책을 고를 때는, 나의 독서수준을 바탕으로 원하는 목적을 분명히 하고, 목차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P132

독자가 스스로 판단하기 힘들 때, 서로 다른 주장을 하는 책들끼리 링 위에 올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 - P134

독자가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을수록 실용서는 만족도가 올라갑니다. 그런 의미에서 독자의 눈높이와 잘 맞는 책을 고르고, 그 이후에는 꼭 실천해야 합니다. (...) - P136

자기계발서도 같은 맥락입니다. (...) 구성이 조금 어설프기도 하고, 근거가 명확하지 않기도 해요. 하지만 분명한 메시지 전달과 함께 동기유발이 잘 되도록 이끕니다. - P137

강력한 주제를 심플하게 전달합니다. 통계적으로 보았을 때, 학문적으로 보았을 때, 그 방법이 좋다는 근거가 부족할 수 있어요. 하지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강력한 힘이 있다면, 독자가 그 방법을 시도하면 성공입니다. - P137

체계가 잡힌 글일수록 표지어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요. 자주 쓰는 것이 첫째, 둘째, 셋째… 입니다. 읽다 보면 첫째를 확인하고, 바로 셋째로 넘어가는 경우가 있어요. 그럴 때는 둘쨰를 찾아야 합니다. ‘우선‘, ‘다음으로‘, ‘마지막으로‘ 이런 식으로 다르게 말할 때도 있으니 정신 바짝 차려야 합니다. ‘예를 들면‘, ‘정리하면‘과 같은 말이 나오면 그 뒤의 내용도 예측 가능합니다. 그 외에도 ‘원인은‘, ‘문제점은‘ 등의 카테고리 표지어는 문단의 전체 방향성을 나타냅니다. - P143

모든 통계가 정확한 것은 아니기에 항상 출처를 확인하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사회 정책 관련 통계는 정치적인 성향과도 돤련이 있어요. 특정 조사 기관에서는 교묘하게 조작해서 입맛에 맞는 통계 결과만 도출하기도 하지요. 이어서 글쓴이가 논지를 강화하기 위해 과도하게 자의적으로 해석한 것은 아닌지 점검(...) - P161

(...)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통계는 최신 통계를 우선시합니다. 하지만 통계가 없거나, 불리할 경우 의도적으로 과거 통계를 활용하기도 해요. 메시지의 맥락에 통계를 끼워 맞추는 경우죠. 또 기준을 유리하게 활용하기도 해요. 이렇게 통계 자체에 대한 의심, 통계를 활용하는 글쓴이의 의도에 대하여 의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 P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