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하, 문학을 읽으십시오
얀 마텔 지음, 강주헌 옮김 / 작가정신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예술은 물이다. 인간은 항상 물 가까이에서 살아간다. 마시고, 씻고, 성장하기 위해서 물이 필요하기도 하지만 물놀이를 하고 물가에서 휴식을 취하고, 뱃놀이를 하며 즐거움을 얻기 위한 목적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은 하찮은 것부터 본질적인 것까지 온갖 형태로 구현된 예술과도 항상 가까이 지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 정서는 메말라버릴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각하, 문학을 읽으십시오
얀 마텔 지음, 강주헌 옮김 / 작가정신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보다 높은 지위에 있지 않은 사람이라면 그가 어떤 책을 읽는지, 책을 읽기나 하는건지 신경쓰지 않을 것이다. 인간이라면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 거라고 판정할 위치에 내가 있지도 않다. 그러나 나를 지배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가 어떤 책을 읽는지가 나에게는 무척 중요하다. 그가 선택한 책을 근거로 그의 생각과 행동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데 스티븐 하퍼 수상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이나 다른 러시아 소설을 전혀 읽지 않았다면, 「줄리 아씨」나 다른 스칸디나비아 희곡을 전혀 읽지 않았다면, 「변신」이나 다른 독일 소설을 전혀 읽지 않았다면, 「고도를 기다리며」와 「등대로」등과 같은 실험소설이나 실험희곡을 전혀 읽지 않았다면, 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과 노드롭 프라이의 「문학의 구조와 상상력」같은 철학적 탐구서를 전혀 읽지 않았다면, 밀크우드 아래에서」나 그 밖의 산문집을 전혀 읽지 않았다면, 「그들의 눈은 신을 보고 있었다」와 「드라운」및 다른 미국 소설을 전혀 읽지 않았다면,「사라예보의 첼리스트」 「섬은 미나고를 뜻한다」 「시쿠티미의 잠자리」등과 같은 캐나다 소설과 시와 희곡을 전혀 읽지 않았다면, 요컨대 스티븐 하퍼 수상이 이런 문학 작품이나
그에 버금가는 문학 작품을 전혀 읽지 않았다면, 그의 마음속
에는 대체 무엇이 있겠는가? 인간 조건에 대한 통찰력을 어디
에서 얻었겠는가? 인간다운 감성을 어떻게 구축했겠는가? 무
엇을 근거로 상상하고, 그 상상의 색깔과 무늬는 무엇이겠는가?
물론 이런 질문을 누구에게나 물을 수는 없다. 일반 시민
이 상상하는 미래는 그의 재산 상황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참견
할 바가 아니다. 그러나 그 시민이 선거를 통해 공직에 취임하
면, 그의 재산 상황은 우리의 관심사가 된다. 정치인이라면 우
리에게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행동하지 않을 거라는 믿음을 주
기 위해서 재산 상황을 밝히는 것이 원칙이다. 정치인이 가진
상상력이라는 자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나 자신을 위해서
라도 스티븐 하퍼 수상처럼 나를 지배하는 사람이 어떤 방향으
로 무엇을 상상하는지 알아야 한다. 그의 꿈이 자칫하면 나에
게는 악몽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설과 희곡과 시는 인간과 세계와 삶을 탐구하는 가공할 만한 도구이다. 지도자라면 인간과 세계와 삶에 대해 당연히 알아야 한다. 따라서 나는 열렬하게 성공을 바라는 지도자에게 ˝국민을 효과적으로 이끌고 싶다면 책을 광범위하게 읽으십시오!˝라고 말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의 격차는 지식의 격차로 이어진다. 문제는 이 격차가 민주주의를 위협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데이비드 런시만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교수는 “교육 격차가 21세기 민주주의의 큰 화두이자 도전이 될 것”으로 봤다. 런시만 교수는 10월 5일 <가디언>에 기고한 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가 지난 2월 네바다주 코커스에서 “저교육층(poorly educated)과 함께 승리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에 주목했다. 런시만 교수는 “저교육층은 자신들의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고교육층에게 지배당할 것을 두려워하며, 고교육층은 세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저교육층의 뜻대로 세계가 움직이는 것을 두려워한다”며 “이 두 계층을 통합해 함께 민주주의 체제를 운영하는 것은 도전적 과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식정보화 시대에 교육의 격차와 지식의 격차는 주된 갈등전선이 될 수 있고, 트럼프의 부상이나 저교육층의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찬성이 이러한 현상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경향신문 기사
-독서의 계절, 누가 많이 읽고 누가 안 읽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틴 루터 킹 자서전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절망의 구렁텅이에 빠져서는 안 됩니다. 친애하는 여러분께 이 말씀을드리고 싶습니다. 우리는 지금 비록 역경에 시달리고 있지만, 나에게는꿈이 있습니다. 나의 꿈은 아메리칸 드림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꿈입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조지아 주의 붉은 언덕에서 노예의 후손들과 노예 주인의 후손들이 형제처럼 손을 맞잡고 나란히 앉게 되는 꿈입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이글거리는 불의와 억압이 존재하는 미시시피 주가 자유와 정의의 오아시스가 되는 꿈입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내 아이들이 피부색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지 않고 인격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나라에서 살게 되는 꿈입니다.
 지금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지금은 지독한 인종차별주의자들과 주지사가 간섭이니 무효니 하는 말을 떠벌리고 있는 앨라배마 주에서, 흑인어린이들이 백인어린이들과 형제자매처럼 손을 마주잡을 수 있는 날이 올것이라는 꿈입니다.
지금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골짜기마다 돋우어지고 산마다, 작은 산마다 낮아지며 고르지 않은 곳이 평탄게 되며 험한 곳이 평지가 될 것이요, 주님의 영광이 나타나고 모든 육체가 그것을 함께 보게 될 날이 있을 것이라는 꿈입니다.
이것은 우리 모두의 희망입니다. 저는 이런 희망을 가지고 남부로 돌아갈 것입니다. 이런 희망이 있다면 우리는 절망의 산을 토막내어의 이정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희망이 있다면 우리는 나라 안에서 들리는 시끄러운 불협화음을 아름다운 형제애의 교향곡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런 희망이 있다면, 언제가는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면, 우리는 함께 행동하고 함께 기도하고 함께 투쟁하고 함께 감옥에 가고 함께 자유를 위해서 싸울 수 있습니다.
내 꿈이 실현되는 날이 반드시 올 것입니다. "나의 조국은 아름다운 자유의 땅, 나는 조국을 노래부르네. 나의 선조들이 묻힌 땅, 메이플라워호를 타고온 선조들의 자부심이 깃들이어 있는 땅. 모든 산허리에서 자유의 노래가 울리게 하라!" 주님의 모든 자녀들이 이 구절을 새로운 의미로 암송할 수 있게 될 날이 올 것입니다. 미국이 위대한 국가가 되려면 우리의 꿈은 반드시 실현되어야 합니다.
뉴햄프셔의 높은 산꼭대기에서 자유의 노래가 울리게 합시다.
‘펜실바니아의 웅장한 앨러게이니 산맥에서 자유의 노래가 울리게 합시다.
콜로라도의 눈 덮인 로키산맥에서 자유의 노래가 울리게 합시다. 캘리포니아의 구불구불한 산비탈에서 자유의 노래가 울리게 합시다. 조지아의 스톤 산에서 자유의 노래가 울리게 합시다.
테네시의 룩아웃 산에서 자유의 노래가 울리게 합시다.
미시시피의 수많은 언덕들과 둔덕들에서 자유의 노래가 울리게 합시다.
전국의 모든 산허리에서 자유의 노래가 울리게 합시다.

이렇게 된다면, 모든 주, 모든 시, 모든 마을에서 자유의 노래가 울린다면, 흑인과 백인, 유태교도와 기독교도, 신교도와 구교도를 가리지 않고 모든 주님의 자녀들이 손에 손을 잡고 오래 된 흑인영가를 함께 부르게 될 그날을 앞당길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침내 자유를 얻었네, 마침내자유를 얻었네. 전능하신 주님의 은혜로, 마침내 우리는 자유를 얻었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기의 영혼 속에 존재하는 영웅을 외면하지 마라. 더 높은 곳을 향한 꿈과 이상을 아주 오래전의 일이었다며 그리운 듯이 말하지 마라. 살면서 어느 사이에 꿈과 이상을 버리게 되면, 그것을 말하는 사람을 비웃게 되고 시샘으로 인해 마음이 어지러워진다. 그러면 발전하겠다는 의지나 자기 자신을 극복하겠다는 강고한 마음 또한 버려지게 된다.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