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의 부모는 무엇이 달랐을까? - 입시컨설턴트가 알려주는 초·중등을 위한 학습 및 진로 코칭 가이드
이지원 지음 / 길위의책 / 2019년 2월
평점 :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 학습자료실에서 봉사를 하고 있어요.
작년에 함께 봉사하는 엄마들이 다 중2 자녀를 두신 분들이여서
말로만 듣던 중2 아이들의 생활과 학교 이야기 그리고 내신성적관리 등을 듣게 되었어요.
지금까지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은 전 아무말도 알아듣지 못하겠더라구요.
그러면서 드는 생각이 아이가 계속 초등학생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큰 아이가 올해 초등학교 6학년이에요.
곧 중학생이 될 예정이라서 저두 그냥 있을 수는 없더라구요.
중등 엄마들 애기를 알아듣고 도움을 받으려면
저두 무엇인가를 알아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107509149.jpg)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
모든 부모님들이 원하는 아이이지요.
그런 아이를 둔 부모님들은 다른 부모님들과 무엇이 달랐는지 한번 배워보려구
아주 밑줄 그으면서 읽었어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109824437.jpg)
초등학교 때 공부 못하는 아이를 본 적이 없어요.
제 주위분들의 아이들도 아이 친구들도 다 공부를 잘 해요.
하지만 이런 아이들도 노력을 하지 않으면
중학교가서 성적이 떨어지기 시작하다가
고등학교에 가면 공부를 포기하는 경우까지 생기기도 해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110932597.jpg)
모든 공부는 학교 공부 복습을 시작으로 해서
오늘 배운 내용을 내것으로 만드는 과정을 꼭 가져야 해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112908366.jpg)
학원숙제만 다 했다고 공부가 끝난 것이 아니에요.
공부한 것을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빠지면 안 돼요.
내신은 많은 것을 알고 있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얼마나 많이 반복해서 암기를 했으냐가 중요하기 때문이에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115161774.jpg)
매일 조금씩 꾸준히 복습하는 습관을 만들면서
나에게 맞는 공부방법을
중학교 때 찾았으면 좋겠어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117942656.jpg)
하루에 2시간은 자습 시간을 유지할 수 있게 중요하대요.
자신이 무엇을 할 것인지를 스스로 정하고 그걸 실천해나갈 수 있게 도와주세요.
처음에는 어떤 것을 공부할지 부모님이 옆에서 도와주시고
아이가 공부 계획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시면서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119398963.jpg)
학교에서 영상을 보고 수업을 하거나 프린트물을 나누주기에
필기를 할 일이 별로 없어요.
하지만 성적을 최상위권으로 유지하는 아이들은 필기가 습관화 되어 있다고 해요.
수업 시간에 가능한 선생님의 수업을 집중해서 들으면서
가능한 많이 필기를 할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보게 해주세요.
필기는 공부한 내용을 재구성하고
이해도를 점검하면서 효율적으로 복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120867247.jpg)
부모의 역할은 아이의 공부 결과를 평가하고 지적하는 것이 아니에요.
그건 부모님 외에도 지적해줄 사람이 넘쳐나요.
부모님은 아이가 주변에서 받은 공부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존재가 되어야 해요.
그래야지 아이가 실패를 하더라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거죠.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200306055.jpg)
이 시기가 되면 아이들은 친구이 일순위고 부모님은 공부가 일순위이지요.
이런 시기의 아이들이기에 아이들과 대화할 때 공부나 성적애기보다는
친구와의 관계나 학교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시면 좋아요.
그리고 아이가 친한 친구들의 이름을 기억해주는 센스를 발휘하는 것도 중요해요.
평상시에 이런 대화를 자주 한 다음 공부 애기를 하세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201693825.jpg)
1등을 하는 친구고 꼴찌를 하는 친구도 다 공부를 잘하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아무 겉으로는 표현을 하지 않아도
속으로는 부모님들보다 몇 배는 더 많이 속상해하고 고민할거에요.
자녀를 포기하는 듯한 말과 행동을 자제해주세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c/jchana/temp/20190328023203149092.jpg)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의 부모님들은
무엇인가를 많이 하는 것보다
스스로 정한 것을 매일 꾸준히 복습하고 반복하는 습관을 갖게 해주고
스스로 진로에 대한 고민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도록
아이가 원하는 경험을 어떤 것이라도 만족할만큼 시간을 확보해주면서
아이의 학습과 진로를 함께 챙겨나가시네요.
확실히 다르긴 다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