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의 밥상 - 수라와 궁궐 요리사 그리고 조선의 정치
김진섭 지음 / 지성사 / 2025년 3월
평점 :



화려한 우리 역사를 보더라도 조선시대의 경우 비교적 기록이나 사료가 많이 남아 있어서 지금까지도 다양한 관점에서 배우거나 참고가 가능한 시대일 것이다. 이 책도 일반적인 역사적인 의미를 비롯해 <왕의 밥상> 이라는 적절한 키워드를 통해 당시의 시대상을 조명하고 있으며 결국 누구나 즐기는 음식과 요리, 맛과 멋의 의미나 예절, 문화적인 측면 등에 대해서도 가벼운 마음으로 접하며 배울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도 이 책은 뚜렷한 방향성과 차별화 전략이 돋보이는 역사 가이드북, 혹은 음식 인문학 관련한 책일 것이다.
<왕의 밥상> 특히 왕의 먹었던 요리나 음식의 경우 화려했던 측면도 있지만 맛과 건강 등을 모두 챙기고자 했던 다양한 이들의 노력이나 다양한 지역에서 인정 받은 음식들이 식재료도 사용되었다는 점에 있어서도 지금까지도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거나 직접적인 경험을 하고자 하는 부분일 것이다. 또한 이런 수라상이나 요리의 의미를 통해 당시 궁궐 문화나 관련한 사람들의 생활상 등에 대해서도 알아 볼 수 있고 조선시대의 경우 이를 통해 많은 부분에 활용하거나 때로는 정치적인 행위, 권력적인 의미 등으로도 표현되었다는 점도 읽으며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왕들이 존재했던 현실에서 꾸준히 사랑 받았던 음식이나 요리가 있었던 반면, 조금 독특한 구성과 식재료를 통해 특별하게 즐겼던 왕들도 존재해서 이는 지금의 관점에서만 해석하기보단 당시의 시대상과 해당 인물의 특징 등을 함께 생각하며 고려해 본다면 더 다양한 맛과 멋의 향연에 대해서도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왕의 밥상> 건강을 챙긴 왕들이 있었던 반면, 큰 의미부여를 하기보단 상황에 맞게 음식과 요리를 즐겼던 왕들도 공존했다는 점을 통해서도 그 인물과 시대적 배경, 사건이나 사회의 모습 등도 함께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왕의 밥상> 이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갖기도 하나, 이를 통해 우리의 한식이나 건강식, 다양한 음식 및 요리의 세계에 대해서도 현실적인 배움이 가능할 것이며 어떤 형태로 접하며 계승,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지도 함께 접하며 판단해 보게 된다. 어쩌면 요즘 시대에 적합한 책으로도 볼 수 있고 이제는 한류라는 이름으로 또 다른 형태로 계승, 발전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책을 통해 참고해 보는 것도 좋은 형태의 접근일 것이다. 기존의 역사책들과는 다른 관점이 돋보이는 음식 및 요리 관련한 인문학 도서, 함께 접하며 판단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