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휴대폰만 보고 싶으면 어떻게 해요? ㅣ 어떻게 해요? 11
이상미 지음, 서영경 그림 / 자음과모음 / 2025년 6월
평점 :
#협찬

휴대폰만 보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들에게 심오한 질문이 아닐 수 없어요. 자음과모음에서 보내 주신 초등 저학년을 위한 [휴대폰만 보고 싶으면 어떻게 해요?]를 읽어 보았습니다. 우리 초2 어린이가 "이거 언니가 읽어야 되는 거 아니야?"라고 했는데요. 언니가 핸드폰을 많이 하는 주인공이라는 뜻이었어요. 멀쩡히 책 보던 언니는 괜히 뜨끔해지는데... ㅎㅎ
동주는 바쁜 엄마와 누나 때문에 심심해요. 어느 날인가 우연히 접한 휴대폰 게임이 그렇게나 재미있었답니다. 초등 1학년이니 하교 후에 혼자서 야무지긴 힘들잖아요. 집 안에 혼자 있다고 생각이 드니 손도 씻지 않고 옷도 갈아입지 않은 채로 자연스럽게 휴대폰을 집어 들었습니다. 소파에 파묻혀서 게임 삼매경에 빠져 있는데 어디선가 문 열리는 소리가 들리고(공포 아님 주의) 부스스한 모습의 엄마가 나타납니다. 프리랜서 엄마는 밤낮이 바뀌어서 안방에서 잠을 자다 나왔다네요. 동주에게는 공포 그 자체.
엄마에게 딱 걸린 동주. 핸드폰 중독이 의심된다며 사용 금지령이 떨어집니다. 학교에 가서도 영 재미가 없었어요. 동주는 친구들과 잘 섞이지 않는 조용한 녀석이었거든요. 친구들이 <브레멘 길 찾기 시즌 2> 이야기로 왁자지껄하지만, 동주는 속으로 끙끙 앓을 뿐이었지요. 휴대폰이 보고 싶을 때에는 책을 보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놀거나, 그림도 그리고, 공부를 하라는데 도대체가 재미가 없거든요? 누나가 오기만을 기다렸지만 초등 6학년인 누나는 자신의 친구들과 노느라 바쁘다네요. 엄마는 회의 중이라고 전화를 끊어 버렸고요. 도대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다정하게 대해 주던 게임 속 가상의 친구 키키까지 갑자기 연락이 끊겼어요. 다른 게임 친구들을 사귀기 시작하면서 동주의 생각도 변화하게 됩니다.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말을 걸어 볼까? 늘 조용하던 한 친구에게 말을 걸고 공통의 관심사인 게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어요. 아, 현실에서도 먼저 다가가면 친구를 사귈 수 있구나! 친구와 함께라면 게임보다 더 재미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답니다. 그렇지만 뜀틀 넘기만은 쉽지 않았어요. 아무리 노력해도 무서워서 정지!
집에서 쿵쾅쿵쾅 뜀틀 넘기 연습을 하다 보니 아랫집 아주머니가 찾아오셨어요. 뜀틀 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엄마는 이불로 산을 만들어 동주의 연습을 도왔어요. 바쁘다던 누나도 신이 나서 함께했지요. 아랫집 아주머니가 또 올라오셨지만 동주네 가족은 하하 호호 하나가 되어 동주의 뜀틀 넘기를 도왔고, 드디어 성공! 그러다가 누나가 게임 속 가상 친구 키키였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되는데... 동주는 가족의 사랑을 느끼며 휴대폰에 대한 집착을 조금씩 내려놓습니다. 학교에서도 친구들과 잘 어울리다 보니 정신없이 바쁘고 즐거웠어요.
아, 이거였네요! 휴대폰만 보고 싶으면 어떻게 해요?라는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답이 있었습니다. 휴대폰보다 더 재미있는 일, 의미 있는 일을 찾아보는 게 좋겠어요. 아이들은 재잘재잘 자신의 감정을 받아주고, 해석해 주고, 함께 하기를 늘 기다리고 있어요. 마음이 꽉 찬 아이들은 핸드폰 사용을 스스로 자제하기도 하지요. 이건 어디까지나 초등 저학년의 관점이지만 유용해요.
아침을 먹으며, 하교 후에 우리 초2 어린이와 무엇을 함께할까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어요. 줄넘기를 신나게 한 후에 아이스크림을 시원하게 먹기! 제발 하나만 먹기로 끝내자. ㅎㅎ 휴대폰이 어디 있는지 관심도 없고, 방전되어도 충전할 생각조차 없는 그녀에게 오늘따라 고마움을 느끼고 있어요. 휴대폰을 현명하게 사용하고, 다른 재미로 시간을 채워가길 어른들이 길을 터줘야 하겠어요. 세상에는 더 재미있는 것이 많이 있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