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한일 외교사 수업 배움가득 우리 문화역사 7
박영수 지음, 김상인 그림 / 풀과바람(영교출판)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일본으로부터 여러 번의 치욕을 당한 역사를 돌이켜 보면 

우리가 힘이 없어서 당한 일이였습니다.

그런 일은 지금도 일어나고 있지요.

독도가 다케시마라면 자기 땅이라고 우기는 일본

중국과도 마찰을 빚고 있습니다.

전쟁이나 무력으로 땅을 빼앗아 갔으면

종전이 되면 돌려줘야하지만

그들은 오히려 남의 땅까지 자기 땅이라 우기고 있지요.

국제 사회에 잡음을 일으키는 그 속내가 뭔지 들여다보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뭔지 알 수 있어요.

이 책을 읽고 있노라니 그 일이 더욱 선명해 지더라구요.

우리의 것을 제대로 아는 것 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아는 것부터 시작이더군요.

지금은 일본땅이 되어 버린 대마도

그 땅이 우리의 것이였다는 사실!!

저도 딸아이도 엄청 놀랐습니다.

"아빠,이거 알아?대마도가 원래는 우리땅이였데?'

"멘붕..'

이승만 대통령의 연설도 사실 처음이였습니다.

그렇게 처음 노력을 했는데

왜 우리정부는 계속 노력하지 않고 있는지

왜 역대 대통령들은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정확히 하지않았는지

딸아이가 물어보더라구요.

"우리땅이니까 말도 안되는 일본의 행동에 대응을 안한거야.우리가 발끈하는 것 그것이 일본이 바라는 것이지."

"독도는 독도수비대나 경찰이 지키는데 우리땅이면 군인이 지켜야지.군인을 보내야 해."

여러모로 한일감정이 안좋더라구요.

지리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고 받을 수 밖에 없었던 일본

선전문물을 주던 우리가

일본의 의해 나라의 주건을 빼앗기는 역전을 당한 이유

역사 속에선 칼과 대포였을지 모르나

지금은 경제..나라의 힘입니다.

우리 것에 대해 더 잘알고

우리 것을 지켜려는 자세

절실히 알게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논술이 빵 터지는 초등 어휘 1 : 아 다르고 어 다른 우리말 논술이 빵 터지는 초등 어휘 1
sam 기획 지음 / 노란우산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학년이 올라갈수록 힘든 과목이 사회,수학이라지만

실제로 보면 국어만큼 또 힘들어하는 과목이 없더라구요.

문제집만 열심히 본 아이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과목이 또 국어였답니다.

유형을 좀 다르게 하거나 포괄적으로 물어보는 단답형,주관식 문제 할것없이

모두 힘들어했습니다.

국어..우리말이데 왜 이렇게 어려워할까 했더니

지문을 바르게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국어 뿐 아니라

다른 과목에도 모두 적용되기 때문이였지요.

국어 정말 기초를 탄탄하게 해두어야 하는 과목이였습니다.

우리말이 읽기와 쓰기가 다른 것이 많습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높임말도 써야합니다.

우리말 바른 표기법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짜장면이 아니라 자장면이 바른 표기법이였지만

이젠 자장면도 바른 우리말이 되었습니다.

몇일이 바른 표기법이였지만 며칠로 읽기와 쓰기가 같아지는 경우도 생겨났습니다.

이렇게 우리말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맞춤법을 다르게 쓰고 사용한다면

또 그렇게 힘들고 어려운 말만은 아닙니다.

말을 바르게 써야하는 이유는 또 있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보도 듣도 못한 이상한 용어들과 말을 사용합니다.

인터넷 용어나 문자만 봐도 알아보기 힘들지요.

이런 말과 글을 계속 사용한다면

바르고 고운 우리말을 잃을지도 모르니까요.

대세인 논술을 위해서도 우리말 제대로 알아야 하지만

우리말 우리글이니까 제대로 알고 쓰는 것이 당연하잖아요.

아 다르고 어 다른 우리말이기에

제대로 쓰지 않으면 뜻이 달라지니까요.

책을 읽다보니 더욱 우리말을 바로 알고 바로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더라구요.

특히 초1 아들에게 정말 도움 많이 되는 책이였습니다.

아직 받아쓰기도 힘들어 하는 국어실력이라 더 그러하더라구요.

왜 바른 우리말을 써야하는지 제대로 알려주더라구요.

가르치다,가르키다

늘리다,늘이다

왠지,웬지

어른도 햇갈려한다는 어려운 우리말

어렸을 때 부터 제대로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램그램 영단어 원정대 7 - 구하라! 어근의 성지 루트 행성을! 그램그램 영단어 원정대 7
어필 프로젝트 그림 / 사회평론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램그램 영단어 원정대 6에 비해 7권이 훨씬 알차네요. 

스토리도 재미나지만 스토리 속에 녹아든 영단어의 원리

그래서 공부하지마라!!큰소리 칠 수 잇나 봐요.

억지로 외우면서 영단어 공부하면 영어에 대한 스트레스만 쌓이고 영어 멀리하게 된다고

절대 영단어 외우며 공부하지 말라네요.책이요.

재미있다보니 자꾸 손이가고

그러다 보니 외우지 않아도 영단어의 원리를 제대로 알게 되더라구요.

어미 접두사 접미사 잘 달려왔어요.

가장 중요한 어근..자꾸 읽으니 크게 어렵지 않네요.

물론 영단어 좀 알고 잇는 아이라면 처음 공부하는 아이보다 훨씬 쉽게 마스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딸아이 영어과외 선생님도 그램그램 열심히 읽으라고 하셨답니다.

처음엔 그말 듣고 멍했는데

이유를 알 것 같아요.

아무리 노력하는 해도 즐기는 사람을 앞지를 수 없다잖아요.

즐기면서 하는 영어 공부 절대로 실패할 수 없어요.

7권에 나오는 어근들을 보니

이끌다를 의미하는 duc

부분을 나타내는 part

움직이다의 mov

기억하다 memo

끝을 나타내는 fin

어근이 단어에 따라 모양이 살짝 바뀌기도 하지만 그 뜻은 그대로 남아 있잖아요.

그 어근에 점두사 접미사를 부쳐서 단어가 탄생

점두사나 접미사 역시 앞권에서 배웠던 것이라

머리가 더 쏙 들어오더라구요.

특히 똑똑한 우리 빛나나 루루가 단어의 원리나 뜻을 설명해주니

귀에 쏙쏙 들어오더군요.

하하호호 웃어가며 읽는 사이

몰라보게 영어가 업그레이드 되는 기분

제가 특히 좋아라하는 마법의 영단어 퀴즈

아이가 제대로 받아들였나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더할 나위없이 만족이지요.

배운 것을 바로 복습하니

머리에 memo되는 시간도 더 길어지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속담이 백 개라도 꿰어야 국어왕 - 교과서 속 옛이야기로 보는 국어왕 시리즈 1
강효미 지음, 최윤지 그림 / 상상의집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아들이 즐겨보는 프로그램 중에

또래 아이들이 나와 속담을 알아마추는 게임이 있는데

아들이 꿀먹은 벙어리를 하고 있더라구요.

"와우..저친구는 아들이랑 나이가 같은데 속다을 정말 많이 아나보다.

 속담 공부를 정말 열심히 했나봐."하고 한마디 했습니다.

물론 아들의 기분은 절대 상하게 하고 싶지 않았기에 비교는 안했지요.

그리고 궁금해지더라구요.

'자기는 잘모르면서 왜 저 프로그램을 저리도 좋아하는걸까?

아는 속담이 나와야 더 재미있을텐데..'

분명 제가 보기에 이것은 알고 있을거야 라고 생각했지만

어렴풋이 알고 정확한 표혀을 못하도ㅓ라구요.

"아..나도 아는건데.."하면서요.

역시..이런 푠현이 딱맞더라구요.

속담이 백개라도 꿰어야 국어왕이라고

제대로 표현할줄알아야 진정한 속담왕이라구요.

이 책은 아들이 지금껏 읽어왔던 우리전래에 나오는 내용이라

읽기도 수월하고 뜻 해석도 빠르게 알아듣더라구요.

자기가 잘알고 있다고 생각했는지 더 재미있어 하더군요.

공부라고 생각치 않으니 더 신나서 또 한다고 달라들구요.

비슷한 뜻으로 쓰이는 명어들과 격언들도 함께 나와 있어서 더욱 도움되더라구요.

국어 기초가 정말 중요하잖아요.

초1 아들 어렵다 생각하면 어려울 수도 있는 속담들도 있었지만

이렇게 즐기면서 퀴즈로 푸니 자기주도학습이 되더군요.

우리전래 뿐 아니라 탈무드 이솝우화 등

좋은 책 속의 삶의 지혜까지 얻을 수 있어서 너무 행복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탁자는 탁자일 뿐일까? 걸음동무 그림책 13
이사벨 미노스 마르틴스 글, 마달레나 모토주 그림, 임은숙.손수정 옮김 / 걸음동무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표지 속 위이터가 왜 이렇게 허리를 구부리고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먼저 생기더라구요.

"손님에게 인사를 하려고."

"탁자에 앉은 손님에게 음식을 놓기 위해서"

각자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더라구요.

언젠가 아들이 빨간 사과를 보고 이런 말을 했었어요.

"저 사과는 엄마에겐 내 간식으로 보이고 내 눈에는 신나는 기억으로 보여."

사과따기 체험이 재미있었는지 사과만 보면 그 날에 즐거웠던일이 생각나다고 하더라구요.

사물은 하나인데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그렇더라구요.

그 사람이 가진 생각,지식,경험에 따라 사물을 바라보는 눈이 다르더라구요.

대상이 되는 사물도 나랑 관계있는 것에만 이런저런 생각을 해봤지

탁자가 다른이의 눈에 어떻게 보일까 하는 생각은 못해봣거든요.

아이뿐 아니라 저에게도 신선한 충격이였답니다.

"준원이는 탁자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들어?

"공부해야하나...."

"그런 것말고 좀 더 상상력을 발휘해 봐?"

"이 탁자가 우리집까지 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쳤을까?"

"가격은 얼마나 늘어났을까?"

옆에서 아들과 엄마의 대화를 듣고 잇던 아빠가 대뜸 그러더라구요.

누가 사업하는 사람 아니랄까 봐..경제적인 것으로 접근하더라구요.

작은 물건 하나에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는 것

사람의 생각은 각자 다를 수 있다는 것

다양성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자세 또한

책을 통해 배우게 되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