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즐깨감 스토리텔링 서술형수학 6-1 - 2014년용 ㅣ 즐깨감 서술형수학 시리즈
박현정 외 지음,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가 4학년 일 땐 4학년 수학이 제일 어려워 보이더니
6학년 수학을 보니 정말..
'내가 가르칠 수 있을까,아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마구마구 솟더라구요.
수학이 한학기 배우고 마는 과목이 아니라
중학생 고등학생까지도 계속 배우고
기초를 쌓아가야 다음 학년을 공부할 수 있는 과목이다보니
어느 단원 하나 쉽고 수월하게 넘길게 아니다 싶더라구요.
개념이해만이 살길이였지요.
저는 수학을 좋아하는 엄마로써 아이에게 늘 강조하는 말이 있습니다.
"수학을 수로만 생각하지마라.그림을 그려봐라."
도형뿐 아니라 분수에서도 전 그림을 그리며 생각하면 수월하다 말합니다.
즐깨감을 보니 제생각을 글로 옮겨 재미있고 쉽게 문제를 이해하도록 해주더라구요.
수학문제해결의 첫걸음은 바로 정확한 문제이해니까요.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문제해결방법도 분명 틀리게 되니까요.
깨비,즐비,감비 그림이 처음엔 더 헷갈리더라구요.
한문제 두문제 풀어갈수록 깨비,즐비,감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겠더라구요.
딸아이가 문제를 풀어 놓은 것을 보면
항상 서술형에서 지적할 것이 생깁니다.
아주 간단하게 3줄 정도면 끝나요.
글이 아닌 숫자로 이루어진 식이지요.
"이건 게산과정이잖아.서술형은 글로 설명을 하면서 식을 써야해"라고 말하지만
고치기 쉽지않더라구요.
어떤 것이 꼭 들어가야 하는지 즐깨감이 일깨워주더라구요.
서술형 답안을 보면서
"이렇게 많이 쓸수없어.답안지가 좁단말이야."
"이건 트레이닝이고 숙달되면 필요한 글과 식만 간추려 쓰여야 그게 실력이야."
서술형 답안이 완벽한 답안이긴해도
아이 말처럼 전부 써낼 수 없으니 보다 현실적인 답안도 필요하다 싶더라구요.
하지만 수학이 이야기로 그림으로 재미로 풀수있다는 것을 알려줘서 좋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