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번째 봄
K보리 지음 / 두란노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그 시간이 언제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우린 그 남은 시간을 우리에게 허락하신 이의

뜻에 맞게 살면 된다. 그러나 현실은 언제나 우리에게 가혹하다. 언제일지 모르지만 어떤

모습일지 모르지만 우리는 그 가혹한 현실을 준비하며 살아야 한다. 저자는 그런 가혹한

현실 앞에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며 서서히 변화한다. 점점 자기 자신을 내려 놓고 자신이

아무것도 아니었음을 인식하며 그분 앞에 겸손해 지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생각도 변한다.

절망적이고 암울하기만 상황 앞에 긍정적이고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다. 글을

읽는 내내 감정이 이입된다. 마치 내가 그인냥 화도 내다가 눈물도 흘리다가 가슴이 뛰기도 한다.

 

눈에 확 들어오는 구절이 있다.

"보리씨, 우리 다시는 만나지 맙시다."

장기려 선생을 기억하게 할 만치 정직하고 성실하고 자신의 일에 최선이었던 레지던트 윤선생과의 인사 중 하나이다. 이 말 속에 담긴 의미가 가슴을 울린다. 이제 다시 만나지 않아도 될 정도로 건강하라는 윤선생의 마음이 그대로 전해온다. 가슴 절절히 환자를 생각하고 염려하는 그의 마음이 전해진다. 이런 의사 만나기 쉽지 않다. 그러면서 장기려 선생이 떠오른다. 어쩌면 저자는 장기려 선생을 떠오르게 하는 윤선생을 통해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았을 수도 있다. 아니 희망이라는 것을 발견했을 수도 있다. 굵은 땀방울을 흘리면서 환자에 대한 사랑과 생명에 대한 강한 집념과 책임감 마저 보여주는 윤선생의 모습을 통해 삶에 대한 애착과 의미가 생겼을 수도 있다.

 

또 하나의 글귀가 나를 붙든다.

"내가 살아서 집으로 돌아간다."

죽음을 맞닥드려본 사람 만이 할 수 있는 말이다. 얼마나 절박한 말인지 모른다. 언제나 반복되어지는 삶이 아닌 아주 특별한 귀가이다. 죽음을 맞이해 본 사람이 그 죽음의 위기에서 벗어나 집으로 돌아갈 때 할 수 있는 말. "내가 살아서 집으로 돌아간다" 나는 이 말을 한 분의 선교사님을 통해 들어 보았다. 이슬람권에서 선교하시는 그 분은 살해의 위협과 테러의 위협 앞에 늘 놓여 있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귀국할 때 항상 이렇게 이야기 한다. "내가 살아서 집에 돌아간다" 저자의 마음이 전해진다. 얼마나 절실했을지, 또한 얼마나 기대했을지가 여실히 전해진다. 그렇게 돌아가는 것이다. 집은 그런 곳이다. 쉼과 허용과 살아 있음이 증명되어지는 삶의 공간이다. 그 공간안에 살아 있음이 다시금 감사해진다.

 

마지막으로 그의 편지 중 한 구절을 적어 본다.

"제가 왜 슬퍼해야 하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