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말하면 모두 내 편이 됩니다 - 정신과 의사가 알려주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대화의 기술 32가지
마스다 유스케 지음, 이용택 옮김 / 이너북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화의 능력은 '재능'이 아니라 '기술'이다. 소통이 오히려 '불통'이 된

요즘 다시 대화에 관한 책들이 넘쳐난다. 그 대부분은 재탕 혹은 삼탕을

해서 표지만 바꾼 책들이다. 이 책은 정신과 의사가 전하는 사람의

마음을 잡는 방법을 소개한다. 정신과 의사. 심리학자나 커뮤니케이션

전문가가 아닌 정신과 의사의 책이라 일단 관심은 생긴다. 정신과를

내원하는 이들과의 대화를 토대로 그들의 삶과 버거움, 그리고 그 안에

존재하는 단절의 벽들을 밝히며 효과적인 대화로 적이 아닌 내편으로

만드는 방법들을 이야기한다.


저자는 상대의 본심을 파악하고 자신의 의도와 생각을 진솔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한데 여기에는 상대방이 오해하지 않게 하는것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어떻게 듣느냐에 따라 대화의 모든것이 결정된다고

조언한다. 인간에겐 진실을 숨기는 힘도 있고, 거짓을 간파하는 힘도

있다. 인간은 듣기보다 말하기를 좋아하는 동물이며 대화의 주인공은

내가 아니고 상대방은 이미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대화하기 전에

신뢰를 얻어야 대화가 잘 이루어지며 신뢰 관계는 접촉 횟수(가상

대화도 포함)가 많아지면 질수록 높아진다.


의식의 밑바닥을 의미하는 '무희식'과 그곳에서 나온 감정이 포착되는

표면을 '전의식'이라부르며 그 감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의식'이라 부른다. 대화에 나타나는 ‘자아’, ‘초자아’, ‘리비도’는 대체로

자아는 의식에 있지만 전의식이나 무의식에도 존재하며 초자아나 리비도

역시 무의식적인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전의식에도 존재한다. 리비도의

힘은 자아의 힘을 뛰어 넘는다. 때문에 상대방의 리비도의 힘을 내

것으로 가져오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는 이같은 이유로 감정과 생각에

대해 스스로 파악하려 애쓰기 보다 다른 사람에게 지적해 달라고 하는

편이 효율적이라고 말한다.


정신과 의사인 저자는 내원하는 환자의 마음을 불안한 마음에서

안심이라는 결말로 이끌어 내기 위한 방법으로 대화를 제안하며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이 책을 저술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책의 곳곳에서

진료 상황들이 재현되어 몰입감을 높인다. 기회가 되면 '무의식적 오해'

라는 테마에 속한 투영, 전지, 투사적동일시, 역전이 등에 대해 공부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정독 후 진솔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