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2 진주성 - 전라도로 가는 마지막 관문
정용연 그림, 권숯돌 글 / 레드리버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은 모두에게 아픔이다. 백성은 백성대로 권력자는 권력자대로 승자는

승자대로 패자는 패자대로 아픔을 남긴다. 그리고 그 모든 전쟁은 승자

독식이고 전승기록이며 전리품이다. 때문에 영웅을 만들어 내고 죽이기도

한다. 임진왜란도 그랬다.

워낙 많이 회자되고 알려진 덕에 우린 임진왜란의 대부분 주요 등장인물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있다. 이순신, 선조, 도요토미 히데요시등 주인공들과

양측 전장의 장수들인 권율, 김시민, 소서행장, 덕천가강등은 알고 있다.

저자는 이들이 아닌 진짜 전쟁의 영웅들을 소개한다. 장수들의 지휘력이나

리더쉽 용맹 지략을 폄하 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창과 칼을 들고 싸우고

돌맹이 던지고 활쏘다 이름 없이 쓰러져 간 이들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정용연 작가는 몇 년전 '묵호의 난 1374 제주'에서 만났다. 4.3 이전에

살고자 목숨을 내건 말을 관리하던 이들이 일으킨 묵호의 난이 있었고

그 난을 평정한 인물이 최영이다. 역사는 누구의 시선으로 쓰여지느냐에

따라 확연히 다른 전개가 가능한 사건들이 대부분이라 시선과 시각의

다양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그래서인지 이 책에는 주요 등장인물이

다르다. 하지만 그래픽 노블로 그려진 이 책에는 우리가 흔히 드라마나

영화에서 들어 봄직한 '개똥이, 돌쇠, 삼월이, 작은년이'등 민초의 이름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책의 내용 중 진주목사(정3품, 당상관)였던 김시민의 주도하에 병졸들을

훈련시키는 장면은 이순신의 수군 양성 장면과 흡사해 보였다. 첫 징을

치면 싸움을 늦추고, 두번째 징을 치면 그치고, 다섯번을 치면 급히 본진으로

귀환하라는 신호는 실제 혼란스러운 전장에서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1차 진주성 전투에서 김시민은 전사했으나 그의 용맹은 일본 가부키

'덴자쿠 도쿠베 이국 이야기'에 나오는 '모쿠소'라는 괴물의 모티브가 될

정도로 대단했다고 전한다.


영웅이 아닌 백성들을 중심으로 풀어낸 이 책은 만화이지만 시각에 대한

색다른 경험을 하게 한다. 작가의 전작인 조선 최초의 여성 의병장 윤희순을

그린 '의병장 희순'도 읽어 보아야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정독 후 진솔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