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가면을 벗는다면 - 자폐인 심리학자가 탐구한, 자신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법
데번 프라이스 지음, 신소희 옮김 / 디플롯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두가 가면을 벗는다면(Unmasking Autism : The Power of Embracing

Our Hidden Neurodiversity)

저자는 자폐인이다. 그리고 트랜스젠더다. 하나만으로도 쉽지 않은데

두개를 다 가지고 있다. 만약 우리나라라면 어땠을까 하는 의문도

생긴다. 특유의 '집요함'으로 글을 쓰고 자료를 조사하고 방법들을

제시하며 사뢰적 소수자들이 쓰고 있는 가면과 그 가면으로 인해

얼마나 사회를 병들게 하는지를 이 책을 통해 증명해 낸다. 비장애인인

척하느라 자신을 잃어버리고 고통받는 자폐·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양극성 성격 장애 등을 겪는 '신경다양인'들의 이야기로

'정상적으로 살라'는 억압과 폭력을 다룬다.


가면을 벗는다는 것은 침묵하기를 거부하고, 분리되고 은폐되기를

거절하며, 온전한 우리 자신으로서 다른 장애인 및 소외 집단과

굳건하게 연대하겠다는의미이며 사회적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고 흔히

정상적이라고 말하는 그것들에 대해 문제 의식을 갖는 것이다. 저자는

가치 기반 통합 과정을 소개하며 다양성을 가진 자폐 스펙트럼과

현재의 삶을 벗어나 앞으로의 삶이 어떠할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자폐인은 인류의 정상적인 일부이며 비자폐인과 똑같은 자질을 보일

수 있다. 그렇다, 누구나 어느 정도는 자폐증이 있다. 바로 그래서

존중받고 받아들여질 자격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주변의 몰이해와 오해, 낙인, 오진 등으로 인해 정체성을 감추고

살다가 결국 스스로를 파괴한다. 사회 구성원이 아프다면 그 사회

또한 건강할 수 없다. 얼마전 우리가 열광한 한 드라마 역시 이 같은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다.


우리 모두는 가면을 쓰고 산다.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적절한 사회적

가면을 써야 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가면에 사로 잡힌다가니 그것이

자신을 짓누르는 것이라면 그 가면을 벗고 자신을 찾아야 한다.

저자는 지금꺽 강요 받아온 삶의 방식에서 벗어나 당당한 스스로로

존재하기를 선택하라고 그래서 모두에게 공평하고 동등한 세상을

만들라고 조언한다. 어린이 동화 '가면 쓴 사자'가 생각난다. 과연

우리는 가면을 벗을 수 있을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