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대생의 교활한 시험 기술 - 읽기만 해도 점수가 올라간다!
니시오카 잇세이 지음, 황선종 옮김 / 갤리온 / 2019년 1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러나오는 시원시원한 맛이 있다. 그는 시험에 합격하는 방법을 '점수를 많이 

받으면 된다'라고 단호하게 말한다. 맞는 말이다. 시험에 합격하려면 고득점 이외의

방법은 없다. 여기엔 이유가 존재하지 않는다. 아무리 준비를 많이 하고 엉덩이에

진물이 정도로 공부를 했어도 점수를 받으면 원하는 아무것도 얻을 없다.

저자는 이러한 시험 앞에 '교활한'이라는 단어를 써가며 시험 잘보는 방법을

전수한다.


주관식 출제자와 캐치볼을 하라는 문구처럼 출제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의도에 맞게 답을 기술하는것이 점수를 높이는 비결이다. 그러기 위해 먼저 질문을

정확하게 보아야 한다. 질문자가 묻고 있는 내용이 무엇이며 어떤 대답을 원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우선이고 질문에 맞게 답안을 적어야 한다. 출제자의 의도에서

벗어나거나 모자라면 점수를 얻기 어렵다. 안타깝게도 모두가 알것 같은 자그마한

진리를 대부분이 망각하거나 등안시하여 좋은 점수를 얻지 못한다. 


대학때 리포트를 쓰거나 논술형 시험을 볼때 글자수를 늘려서 공간을 채웠던 방법은

한국이나 일본이나 별반 다르지 않구나하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생각나지 않는 것들을

억지로 끄집어 내서 배열한 어떻게든 글자수를 늘려보려고 애썼던 시절 하루는

교수님이 시험을 시작하자 마자 칠판에 "억지로 글자 늘리면 늘리는 글자 만큼

감점'이라고 적으셨고 그날 우리 대부분은 시험을 망쳤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뿐인가.

시험 시작 오분전에 핵심단어만 암기하거나 단어의 글자만 자신만 아는 문자로 책상에

적어 놓고 몰래 보기도 했던 그시절 우리에게 하셨던 교수님의 한마디는 지금도 생생하게

느껴진다. "청춘은 흐르지만 성적은 영원하다" 한마디 때문에 우린 정말 목숨걸고,

무슨짓을해서든 성적을 받기 위해 혈안이 됐었는데 일본 역시 별반 다르지 않은것

같아 묘한 동질감이 느껴진다. 


어짜피 시험이라는 관문을 평생 넘어야 한다면 조금이라도 좋은 성적을 얻을 있는 길을

선택해야 한다. 시험이 사람을 괜찮지 않도록 만드는 인생의 관문이라고 말하는 저자의

말처럼 기왕에 넘어야 관문이라면 효과적이고 현실적으로 관문을 통과하는것도

지혜다. 책은 우리에게 그런 지혜를 전해준다. 책을 읽으며 '! 이거 아는건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분명 많을 것이다. 그냥 알고만 있지 말고 활용하고 이용하고 사용해서

자신에게 유익한 상황을 만들어 보자. 책의 제목처럼 '교활한 수험생' 되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