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별의 언어
장한업 지음 / 아날로그(글담) / 2018년 10월
평점 :
언젠가 우리 사회에 유행처럼 번진 말이 하나 있다. "틀리다가 아니고
다르다입니다"라는 말이다. 잘못된 것이 아니라 생각이 다른것이라는
말인데 이 유행이 잘못된 언어 습관이 가져온 혼란을 많이 잠재웠던
기억이 난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사고하고 존재하기에 언어를 잘못 쓰
면 잘못된 사고를 할수 밖에 없다. 저자는 이와같은 우리의 언어의 혼란을
경고하며 바르게 사용하길 요구한다.
독서는 지식 습득의 보고라는 말처럼 읽는 내내 '아 이게 이런 의미와 뜻을
가졌구나'라고 느낀적이 한두번이 아니며 무작정 주입된 지식은 총과 칼보다
위험하다는 말을 절감하리만치 무심결에 잘못 사용하고 있는 단어들이 많음에
놀랐다.
중국인을 비하하여 쓰는 '떼놈'이 북쪽을 가르키는 고유한 한국어인 '되'에서
왔다는 것이나 우리가 그렇게 열광하는 '단일민족'이라는 단어가 사용된것이
불과 100여년 전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바른 표현이 아니라는 학자들의 의견은
머리를 한대 얻어 맞은것 같은 충격을 주었다. 심지어 국어사전에서조차
혈연이나 혈통은 민족을 구분하는데 적용되지 않음을 명시한 것은 그동안
얼마나 잘못된 사실을 진리인양 신봉해 왔었는지 알려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지금 우리는 다문화 시대에 살고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다문화시대라고 말은
하지만 정책에 불과할뿐 일상이나 현장에서는 단지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혹은 못사는 나라에서 왔다는 어이 없는 이유로 외국인보다 못한 대우를 받는
이들이 다수이며 철저히 인권의 사각지대에 배치되어 심신을 유린당하는 이들이
부지기수이다. 차별을 금지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여전히 차별적 언어와 행동에
익숙해 있는 이들에 의해 억울한 희생양들이 양산되고 있는 형편이다.
책을 읽으며 '우리'라는 울타리에 자신을 꽁꽁 숨긴채 자행되는 저급한 패거리
문화가 떠올라 얼굴이 화끈거렸다. 상생은 말이 아니라 행동에서 나온다. 함께
살아가야할 미래를 위해 편견을 거두고 다양성을 인정하여 정말 모두가 '우리'가
되는 세상을 꿈꿔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