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나에게 친절하기로 했다 - 나를 아끼고 상처에서 자유로워지는 법
크리스토퍼 거머 지음, 서광 스님 외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8월
평점 :
품절


"삶은 고달프다"라고 시작되는 저자의 글은 고달픈 삶에서 어떻게하면

자기 자신을 챙기고 아끼고 사랑할 있게 되는지를 '마음챙김'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풀어 나간다. 

우리는 종종 고통스러운 감정과 싸우다 감정에 갇혀버리고 깊게 침몰하다

예기치 않은 극진한 친절을 경험하고 갇혔던 마음이 열리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험들을 토대로 자신을 사랑하고 아끼고 보살피며 보호하는 "자기연민"

이르게 되는 것이다. 


먼저 저자는 '자기수용' 이러는 단어를 사용한다. 수용은 호기심, 인내, 허용하기,

친구되기 등을 포함하는데 이는 지금 순간 우리 내면에서 벌어지는 일에 정서적으로

열려 있음으로 의미한다. 수용한다고 해서 나쁜행위마저 용납한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다만 현실을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는 체념이나 침체가 아니라 변화를

의미하며 변화를 위해 순간순간 우리의 감각, 감정, 사고를 경험하는 의식적 선택을

말한다. 이를 통해 저자가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자기연민" 이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오래되고 고통스러운 관계를 치유하려면 용기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문제를 안고

있으면 해결은 요원하다. 드러내야 있고 치유가 가능하다. 무작정 사랑하고

이해하라고 주문하는것은 적절한 치료법이 아니다. 오히려 상처를 더욱 깊게 감추고

곪게 만드는 어리석은 행동이다. 묵은 찌꺼기 같은 감정에서 자유로와 지기 위해서는

또한 적극적이어야  한다. 문제와 상황 앞에 소극적으로 도망가려는 태도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대처해야 한다. 소극적인 대처가 오히려 스스로를 더욱

힘들게 만든다. 저자는 이러한 용기를 '준비되어 있다'라고 표현한다. 그렇다. 준비된

자만이 용기를 있고 용기를 내는 자만이 변화를 꿈꿀 있는 것이다.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으로 가는 길은 끝이 없다. 도착했구나 싶으면 여지없이

새로운 도전이 나타난다. 모든 세월이 지난 뒤에도 여전히 우리는 제멋대로

있다. 그러나 자체가 자신임을 인정하고 이미 우리 자신의 것들에 대해 기꺼이

벗이 되어준다면 변화는 이미 시작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