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긴 어디 나는 누구 - 오늘도 헤매고 있는 당신을 위한 ‘길치 완전정복’ 프로젝트
기타무라 소이치로 지음, 문기업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길치, 방향치...나와는 거리가 단어로 생각했다.

그런데 어느 순간 길을 헤메기 시작하고

내비게이션이 없으면 길을 찾기가 어려워졌다. 

과감하게 내비게이션을 포기했다. 

지도를 검색하고 중요 포인트를 찍어 기억하고 포인트를 중심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다시 길이 보이기 시작한다. 기억되어졌던 길들이 떠오르며

길에서 헤메는 일이 현저히 줄어 들었다. 

불과 얼마전까지 내가 직접 겪은 일이다. 

그런 나를 돌아보며 저자의 책과 마주하니 반갑다.

"앵커"라는 단어는 내가 사용했던 '포인트'라는 단어와 효용가치면에서

흡사했고, 반복하고 연습해야만 극복할 있다는 말은 

스스로 해보았기에 적극 동의한다.

"앵커"라는 단어가 맘에 든다. 원래 배가 정박할 바다밑에꽂아 표류하지

않도록 하는 ''인데길을 헤매지 않는 표식이라면 의미에서 차용한것인데

사용이 흥미롭다. 

고정되어서 배가 움직이거나 표류하지 않게 하는 역할과 

거리의 중심이 되어서 길을 헤매지 않게 하는 역할은 나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설정하고 기억하고 떠올리는 세가지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앵커는 자신이 좋아하거나 

흥미를 갖는 것으로 정하는 것이 좋고 억지로 외우려하지 말고 기억하려 하고

거리로 나가기 전에 반드시 복습하는 것이 중요한데 

무엇보다도 자신이 정한 것들을 그림으로 그려보는것이 좋다고 한다. 

책을 읽는 내내 몇가지 세부적인 것을 제외하고는 방법이 거의 유사함을 느끼며

 "! 나와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는 사람이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분명 길치 혹은 방향치는 꾸준한 노력과 열심만 있다면 극복 가능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