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썽쟁이가 아니에요! 알맹이 그림책 43
김나은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받자마자 표지에 나와 있는 모습이 옛날이나 이리 벌을 받았지 요즘 아이들은 이리 벌을 받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 때는 책도 귀해서 그냥 맨손으로 손을 들고 무릎을 꿇고 서럽게 울면서 벌을 받았던 거 같다. 아이들은 자라면서 어쩜그리 일일이 설명해 주고 또 설명해 주고 아이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지 않으면 본인 속이 다 풀릴때 까지 기다려 줘야 했던것 같다. 그런데 그때는 아이를 처음 키우니 뭐가 뭔지도 잘 모르겠고, 같은 행동을 반복해서 일어나는 일들이 다반사였던것 같다. 아이들은 그러면서 배우는 시간이였는데, 그때는 그 상황을 받아 들이지 못하고 몇번을 말해도 그게 잘 지켜지지 않을때는 화도 많이 냈고 아이들에게 모진 소리도 했던것 같다. 이 그림책을 통해서 그림이 색연필로 색칠하고 '빨강이' '초록이'를 잘 표현해 주었다. '빨강이'의 잘 하는 점, '초록이'의 멋진 장점들이 어른의 시선이 아닌 아이의 시선으로 봤을때는 너무나도 이해가 잘 되게 그림으로 표현해 주어서 3살 4살 때의 아이들 모습이 소환되었다. 지금도 양육을 하지만 그때는 정말이지 매일 씻고 먹이고 재우고 설명하는 시간들도 가득 찼던 것 같다. 그 시간들이 고되어서 아이가 무엇을 원해서 그랬는지, 아이가 지금 배워가는 과정들이 눈에 보이질 않아서 아이에게 모진 소리도 했다. 딸만 둘인 나에게는 '빨강이'의 모습 중에 우리 아이의 모습이 나와서 더 친근했다. '초록이'의 용감함과 친구들을 재미있게 해 주려는 모습은 남자친구들의 모습에서 많이 보았다. 또 남매여서 오빠를 지키는 모습에선 많이 보아왔던 모습이다. 추억소환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빨강이'의 엄마 몰래 화장하는 모습도 어찌나 사랑스럽게 표현되어 있는지 읽는 내내 입가에 미소가 떠나지 않았다.

 

      

 아이들은 특히 밥 먹는 시간이 왜그리 사건 사고가 많은지 모르겠다.

그리고 아침에 밖에 나가서 유치원 차 기다려야 하는 시간에 어쩜 그리 속을 태웠는지... 지금 생각해 보면 뭐가 마음에 안 들었는데 표현하질 못하니 그냥 누워서 땡강을 피운다고만 했던 거 같다. 좀더 아이들의 말에 귀 기울이고 친절하게 얘기해 줄걸 하는 후회가 들었다.

 

 

 

책 제목처럼 말썽쟁이가 아니라,  무언가를 새롭게 배워가고 있는데 시간이 부족했던거다. 아이들마다 새로운 것이 너무나도 많은데 어른들은 다 안다고 생각하고, 충분히 생각하고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겪게 하는 시간을 허락하지 않았다. 아이들의 그 하나 하나 궁금한 것들을 아이들 시선에서 보지 않고 내가 계힉한 스케줄에 맞추어 부지런히 움직였고 따라오라 했던 일들이 많았던거 같다. 아직 아이들 양육을 하고 있어서 이 책을 통해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다시 한번 뒤돌아 보는 시간들을 갖았다. 색연필로 색칠한 것도 마음에 들었고, 그 순간 순간 잘 표현이 되어 있어서 그림책이 마음에 든다. 어른인 내가 욕심을 조금 내려 놓으면 아이가 들어옴을 알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린은 춤을 못 춰요
자일스 안드레아 지음, 가이 파커-리스 그림, 강민경 옮김 / 삼성당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과 달리 그림은 기린이 춤을 아주 우아하게 잘 추는 모습이 나와 있어서 금방 '기린이 춤을 잘 추나 보다' 아니면 '저렇게 잘 추고 싶은 걸까?' 하는 생각으로 책장을 넘기게 된다.

 

 

속지에 원숭이 친구 3명이 안무를 맞추어서 추는 동작이 사랑스럽다.

친구들이 춤을 잘 추는 모습을 마냥 부러워만 하고 친구들이 자기를 비웃는 모습을 보면서 사슴은 마음이 많이 무거웠을 것 같다. 나도 몸치인데.......

 

본인도 못하는 것을 잘 알고 있는데, 그 못하는 부분을 남들이 콕 짚어줘서 얘기해 주면 나도 기린처럼 얼어붙겠다. 기린 얼굴 표정이 금방이라도 울것 같은 표정이여서 슬펐다.

그런 가운데서 기린에서 좋은 친구가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바로 귀뚜라미다. 누구나 한명 쯤은 이렇게 좋은 친구가 있어야 되겟다 생각했다.  아니면 나라도 그런 좋은 친구가 되어 주어야 겠다라고. 귀뚜라미는 기린을 많이 지켜 봤기 때문에 기린의 장점을 알게 되었으리라 본다.

 

 기린의 마음을 진정으로 알아봐 주는 귀뚜라미가 있었기에 기린이 용기를 낼 수 있었으리라 본다. 꼬리를 흔들기 시작하면서 몸에 음악을 맡기는 순간, 기적같은 일들이 벌어지니 말이다.

친구들이 하나 둘씩 모여들면서 그렇게 비웃던 시간들은 잊고 기린이 잘 하고 있는 것에 아낌없이 축하를 해 주는 모습 또한 우리가 배워야 겠다 생각했다. 칭찬에 인색한 우리 정서가 아이들이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시간들을 뺏는것 아닌가 반성해 본다.

못할 꺼라 생각했던 부분을 성공 했을 때이 기분은 경험해 본 사람은 안다. 이 기분을 오랫동안 느낄 수 있게 많은 칭찬과 표정을 선물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대우림 가까이 더 가까이
리처드 보그트 지음, 이한음 옮김, 임신재 감수 / 여원미디어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만 봐서는 아이들에 눈에 띄게 사진을 크게 해놨다. 개인적으로 좀 너무 커서 징그러웠지만 아이들 호기심을 자극하기에는 그만이다. 
어려서 들었던 '지구의 허파' 라는 얘기가 귀에 쏘옥 잘 들어 왔다.
나무가 빽빽하게 있어서 지구의 반의 산소를 만들어 내는 곳이 '열대우림' 이다. 인간에겐 정말이지 선물이 아닌가!
자연에서는 모든 것을 아낌없이 주는데 우린 그냥 마냥 마냥 사용하고 있다는 생각이 요즘 들어서 많이 하고 있다.
산소를 내어 주고 이산화탄소는 빨아 들여주고 물도 만들어 주고
아이와 함께 읽으면서 자연의 소중함을 또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없는 친구들이 소개되어 반가웠다.

'푸른극락조'와'부르기'는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요.
그런데 이 깃털을 가지고 욕심을 내다니...... 다음세대 친구들은 못 볼 수도 있겠다 생각하니 이 친구들이 숨어 다니겠다 생각이 들었다.


인간들의 무분별한 계발을 한다고 더 편리하게 살자고 우리 아이들은 흙도 밟아 보지 못하고 씨멘트만 밝고 다닌지도 정말이지 오래되었다.
생활이 편리해 지면서 우린 더 많은 시간을 자녀와 보낼 줄 알았는데 ......
현실은 더 재미난 기계를 가지고 대화는 점점 없어지는 듯 하다.
이 책을 통해서 아이와 함께 자연의 소중함을 함께 나누었고, 그들과 함께 더불어 살지 않은면 곧 우리도 사는 것이 지옥이 될 수 있다는...... 좀 무겁고 진지하게 이야기를 나누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록 강물을 떠나며 미래 환경 그림책 13
유다정 지음, 이명애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소가 부족해서 물고기들이 떼죽음을 당해서 강에 둥둥 떠다니는 모습과 엄마 아빠 수달과 아기수달들이 바라보는 모습이 너무나도 안타까웠다.

 

뉴스를 보면 늘 사건 사고가 널려 있는 듯 하다.

'녹조라떼' 얘기는 한참 전에 나와서 다들 놀란 가슴 쓸어 내렸던 기억이 난다.

요즘 들어 다시 몇군데 수문을 연 결과 완벽히는 아니지만 조금씩 물 색깔과 물살이 생기고 있다는 얘기는 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몇 군데는 더 생각을 해 봐야 하고 주변에 농가들에게도 영향이 미친다는 이유로 조심스럽게 다가간다고 했다.

 

사람들은 돈을 벌어야 한다. 그래야 먹고 사니까......

그런데 먹고 살기 위해서 자연을 너무 막 사용한 건 아닌지.......

단지 먹고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남들 보다 아주 많은 본인의 욕심을 채울려고 한 건 아닌지......

 

다른 이들에게 피해가 가고 사람 뿐이 아니라 같이 살아가야 할 동물들 에게도 피해가 간다면

시작 하지 말었어야 하지 않을까?

 

수달의 엄마 아빠가 한 말이 가슴에 남는다.

"우리 아이들에게 죽은 물고기를 먹일 수는 없어. 그럼 이사를 가야겠지?"

"어린 새끼들을 데리고 어떻게 이사 가지?"

 

 

물살도 있고 물고기도 잘 놀고 수달도 즐거워 하는 그때 그림이 너무 이쁘다.

"아, 행복해."

우리도 생명이 있는 모든 친구들도 이 말이 자주 튀어 나왔으면 좋겠다.

어쩌면 행복은 별거 아닐 수도 있는데 말이다. 가족들 큰 병 없고 서로 칭찬해 주는 말 건네주고 그게 행복 아닐까 요즘 자주 드는 생각이다.

 

자연스러운 거 그게 가장 아름답지 않을까?

많은 반성을 하면서 아이도 읽더니 환경이 얼마나 소중하고 우리가 얼마나 마구 마구 쓰레기를 버리고 있는지 또 반성하고 다짐하는 시간을 갖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늘 바쁜 일상 속에서 살다가 이런 책을 접하게 되면 조금은 생각을 하게 된다.

'맞아~ 난 지구라는 별에 살고 있다지? 우주에는 많은 별들이 있느데......신기하기만 하다.

내가 숨쉬고 생활하는 공간에 많은 사람들도 같이 살아가고 있다는 게......우리 인간은 다른 별들도 궁금해서 찾아 가고 있다는 것이' 달을 알게 되고 수성, 금성, 토성, 명왕성, 태양을 알아가고 있다는 것도 나에겐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

 

고대 문명에서도 '태양'은 늘 궁굼한 대상이였고 지금처럼 여전히 소중한 별이다. 태양계의 중심이고, 행성들에게 빛과 열을 주는 에너지 공금원이기도 하니 말이다. 요즘 날씨가 24년만에 찾아온 더위로 우리는 지금 뜨거운 나날을 보내고 있지만 말이다.

 

나에게 가장 궁금했던 '우주복'이 마냥 신기했다. 왠지 입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났다. 내가 가장 유심히 본 페이지다.

예전에 어떤 프로그램에서 우주로 떠나기 전 경험하는 곳에 연예인들이 가서 경험 했던 장면들이 생각났다. 그때도 마냥 신기했는데 우주복을 우리 아이들 세대에서는 어쩌면 좀 더 자유롭게 입어 보는 시대가 되지 않을까 했다.

옷 안에서 산소가 나오고, 통신도 되고, 인간이 내뿜는 이산화탄소도 없애주고 물주머니가 있어서 목도 추겨준다니 그야말로 모든 것이 갖춰진 옷 아닌가! 

 

@@@@@@@@@@@@@@@@@@@@@@@@@@@@@@@@@@@@@@@@@@@@@@@@@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될 물이 있는 화성이 나에게는 가장 궁금한 곳이기도 했다.

지구 말고 화성에도 물이 있다는 예전에 학창시절에 배웠던 것들도 생각이 나면서 세월이 흐른 지금은 화성에대해 많은 것들을  과학자들이 발견을 했고 지구가 아닌 화성에서의 삶도 20~30년 안에는 가능하다니......

 

***********************************************************************************************************

 

화성은 많이 춥다고 해서 물이 액체상태는 아니라고 하니 난 추운것은 정말 싫어 하는 타입이라서.......

여러가지 장비들을 통해 이러한 많은 것들을 알아 낸다는 것 자체가 그저 신비롭다.

인간이 대단하다 ......

현재 살고 있는 지구가 정말 소중하다고 생각이 되어진다. 주어진 환경을 마구잡이로 사용한 건 아닌지.......

최적의 조건이기에 인간이 지구에 살고 있는 건 아니였을까?

나는 이 지구에서 잘 살고 싶다는 생각만 가득해 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