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드랜드
제시카 브루더 지음, 서제인 옮김 / 엘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희경 작가님의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는 두 명의 하우스리스가 나온다. 김우빈 배우가 맡은 정준은 버려진 버스를 예쁘게 리모델링해서 바닷가에서 산다. 돈이 되는 일이라면 뭐든 하는데, 경매일부터 배의 선장, 은희의 생선가게에서 생선 판매까지. 하지만 정준이 보여주는 삶은 억척스러움이나 가난이 묻어 나지 않는다. 그저 낭만적으로 보일 뿐이다. 이병헌 배우가 배역을 맡은 동준은 트럭 하나에 살림살이를 싣고 다니며 섬사람들을 상대로 장사를 한다. 엄마의 재혼 이후 엄마와 사이가 틀어질 대로 틀어진 동석은 엄마 집이 있지만 엄마 집에 들어가지 않고 반항하듯 집 없이 트럭에서 산다. <우리들의 블루스>에 나오는 하우스리스 두 사람은 빈곤이나 추락이 아닌 자유와 반항의 이미지로 비춰지기 때문에 어찌보면 멋있어 보이기까지 한다.



  <노마드랜드>에 등장하는 린다는 자신을 '홈리스가' 아닌 '하우스리스'라고 불리기를 바란다. 열심히 살았지만 예순네 살 여성인 린다는 결국 가진 집도 없이 소형 트레일러에 살며 살아남기 위해 앞 날을 알 수 없는 저임금 임시 노동에 의존하고 있다. 자급자족을 꿈꾸고 소형 트레일러의 삶이 자유롭다고 말하지만 현재 그녀의 삶은 선택이 아닌 '떠밀림'에 의해서였다. 

  현재 미국에는 전통적인 형태의 주거지를 갖지 않고 밴이나 RV 차량을 이용해 길에서 생활하는 노마들들이 많다. 2007년에서 2009년에 미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를 경제 위기로 몰고 온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많은 미국인들이 집값보다 더 많은 집담보 대출을 견뎌내지 못하고 정상적인 사회에서 튕겨져 나왔다. 이들은 차량에서 생활하며 임시직 일자리를 찾아 이동한다.

  린다 역시 캠핑장에서 관리자로 일하기도 하고 아마존 물류창고에서도 일한다. 아마존은 배송 피크 시작 전 육체적으로 힘든 업무를 여름 휴가를 보내는 일처럼 아마존 창고에서 일하며 우정을 쌓으라고 일자리를 홍보하지만 창고에서의 도난을 막기 위해 실내온도가 섭씨 37도가 넘는데도 창고문을 열어주지 않고 문 앞에 엠블런스를 대기 시켜놓고 임시직 노동자를 착취한다. 축구장 13개를 붙여 놓은 크기의 창고에서 은퇴한 나이를 넘긴 노마들들이 창고를 가로지르며 육체를 혹사시키며 돈을 번다. 미국의 아메리카 드림은 깨진 지 오래다. 아메리카 드림 뿐만 아니라 미국식 자본주의, 열심히 일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신화 역시 깨지고 있다. 오히려 미국식 자본주의의 각자 도생만 남아 있는 건 아닐까?

  하지만 저자는 노마들을 피해자 집단으로 규정하지 않고 이들의 연대, 꿈과 희망을 그리며 책을 마무리한다. 린다는 어스십을 짓기 위해 땅을 사고, 어스십을 짓기 위한 첫발을 내딛는다. 노마들들은 서로를 환대하고 서로를 도우며 공동체를 만들어 나간다. 결국 희망은 사람일까? 착취적 자본주의 구조에서 벗어나는 길은 그 구조에서 빠져 나오는 방법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최대한 덜 소비하고, 최소한의 소득만으로 살아갈 수 있다면 자본주의에 속박된 삶이 아닌 내가 주체적으로 이끄는 삶을 살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하지만 미국의 여러 주에서는 길거리에서 잠을 자는 걸 법적으로 금지하고, 아마존과 같은 기업들은 저임금으로 임시직 노동자들을 착취한다. 결국 정치와 사회문제로 다시 돌아오게 되는데, 자본주의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삶을 강제로든 자율적 의지로든 선택했더라도 국가의 보호 아래 최소한의 기본권은 지키며 살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표지를 채운 서부의 황량한 사막 풍경과 좁고 긴 길이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를 떠올리게 해 요즘 재독중이다. 1930년대 트랙터의 등장으로 땅을 잃은 소작농들이 캘리포니아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여정이 1권에, 과일을 마음껏 따먹으며 돈을 벌 수 있으리라 생각했던 이들이 농장주에게 찾취당하며 멸시와 빈곤에 시달리게 되는 이야기가 2권을 이루고 있다. 대공황 이후 미국의 자본주의가 와 닿은 곳은 결국 길에서의 삶이다. 우리에게 아직 선택지는 있을까? 이대로 계속 열심히 살아간다면 나의 노년에는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까?

 


떠돌이,뜨내기,부랑자,정착하지 못하는 자들이라 불리는 사람들은 언제나 있었다. 하지만 세 번째 밀레니엄에 들어선 지금, 새로운 종류의 유랑 부족이 떠오르고 있다. 결코 노마드가 되리라고 상상해본 적 없는 사람들이 여행길에 나서고 있다. 그들은 전통적인 형태의 주택과 아파트를 포기하고 누군가는 ‘바퀴달린 부동산‘이라고도 일컫는, 벤과 중고 RV, 스쿨버스, 캠핑용 픽업트럭, 여행용 트레일러, 그리고 평범한 낡은 세단에 들어가 산다. 그들은 중산층으로 직면하던 선택들, 선택 불가능한 그 선택들로부터 차를 타고 달아나는 중이다. - P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