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휘말린 날들 - HIV, 감염 그리고 질병과 함께 미래 짓기
서보경 지음 / 반비 / 2023년 11월
평점 :
”감염한 사람들이 겪어낸 모든 어려운 시간들이 내일의 소중한 기억이 될 수 있기를. 그러려면 생명의 공통성 속에서 서로 이어져 있는 우리가 함께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 HIV에게 다른 미래를 주어야 한다.“
에이즈라는 질병은 성관계가 문란한 사람들이 걸리는 불치병이고 감염자에게 손만 닿여도 옮는 무서운 병이라는 인식이 어떻게 심겨졌을까? 커가면서 HIV는 치료가 가능하며 접촉을 통한 감염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HIV/AIDS 질병, 감염자들과 그들을 부양하는 가족, 가족은 아니지만 가족이 되어버린 사람들에 관한 책이다.
에이즈의 최초 발견은 미국에서 나타났다. 다수의 감염자 중 겹치는 한 사람이 전파를 시작했다고 보고 있으며 감염자들 모두 남성 동성애자들이었다. 이 발견을 계기로 에이즈는 동성애자 그리고 성적으로 문란한 사람이 감염된다는 인식이 생겨났다.
우리나라로 오면서 그 인식은 ‘낙인’이 되었다. 1982년 에이즈의 존재를 알게된 대한민국은 1985년 주한 외국인의 첫 에이즈 환자 발생을 계기로 주변 접촉자를 찾기 시작했다. 1987년에는 접객업소 종업원 모두 HIV정기 검사 대상자가 되었다.
감염자들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에이즈 감염여부를 알게되고 사회로부터 에이즈 감염자라는 ‘낙인’과 동시에 암매장 당하게 된다.
이후 증상이 나타난 환자들도 병원에선 받아주질 않고 그나마 받아준다는 요양병원의 환경도 감옥이 따로 없다. 치료나 돌봄은 전혀 안되어 같이 입원해 있는 다른 감염자의 도움을 받는다. 가족들도 외면하거나 심지어 돌보는 가족들의 삶도 같이 무너진다.
사회적 인식이 이렇게 무섭다. 에이즈 감염인의 경우 면역수치가 일정 수준 이하이면 전파력도 낮다고 본다. 항바이러스제를 꾸준히 복용하면 당뇨나 고혈압처럼 만성질환으로 분류되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어쩌겠어. 내가 나를 살려줘야지. 나는 나한테 용기 를 주는 것밖에 모르니까. only know encourage myself“
내 주변에 없어서 전혀 모르고 관심도 없던 감염자들의 삶을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한 감염인의 발표처럼 이들은 ‘우리는 그저 앞줄에서 먼저 바이러스를 만난 것뿐’일 것이다. 언제 내 주변 사람의 일이, 나의 일이 될지 모른다. HIV에 대한 인식 변화가 국가뿐 아니라 한 개인으로 퍼져가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