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본행 야간열차
파스칼 메르시어 지음, 전은경 옮김 / 비채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많은 경험 가운데 기껏해야 하나만 이야기한다.“
”우리가 우리 안에 있는 것들 가운데 아주 작은 부분만을 경험할 수 있다면, 나머지는 어떻게 되는 걸까?“

작품은 책 속에 또 다른 문학 작품을 등장시키는 액자식 구성으로 주인공인 그레고리우스는 정해진 틀에 맞춰 살던 삶에 회의를 느껴 충동적으로 말도 전혀 통하지 않는 리스본으로 여행을 떠난다. 정말 영화 같은 계기로 삶을 놓아버리고 한 인물을 알게 되고 그 인물의 전기를 알아보는 영화 같은 스토리이다.

‘아마데우 이나시우 드 알메이다 프라두’
환상 같은 이 인물의 삶을 쫓는다는 단순한 스토리지만 다양한 인물을 등장시키고 아마데우라는 사람을 소신 있고 신의 있는, 신격화된 인물로 만들어 600여 페이지나 되는 어마어마한 분량을 끝까지 끌고 가는 힘이 대단했다.



내가 느낀 아마데우의 첫 이미지는 ‘신격화’였다. 중등학교의 첫 등장부터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그의 절친한 친구였던 ‘조르즈’가 그에게서 빛을 보았다고 할 정도로 아마데우는 뛰어났다. 학업에 뛰어났으며 그가 하는 생각 자체가 훌륭했다.

완벽할 것만 같던 아마데우의 인생도 종전에는 그것이 아니었음이 밝혀진다. 부모의 통제에서 느낀 억압, 의사를 원했던 아버지와 많은 것을 소리 없이 기대한 어머니. 자신의 목숨을 구한 오빠를 신으로 모시며 수발을 돕는 여동생. 특히 아마데우가 ‘모’에게 부치는 편지는 아기를 키우는 부모의 입장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한 사람의 인생을 여러 사람의 입을 통해 듣는 것은 얼마나 의미 있고 소중한 일인가.
그레고리우스는 기적 같은 시간을 보냈다. 그렇지만 그의 끈질긴 열정이 없었다면 몰랐을 시간이었다.
아마데우를 회상하는 많은 사람들이 그를 존경하고 그의 인품에 감탄하고 무엇보다 그를 사랑했다. 그런 아마데우의 생전을 쫓던 그레고리우스는 무엇을 느꼈을까?


한순간 그레고리우스가 떠나버린 것처럼 읽는 나도 순식간에 몰입되어 은둔하며 읽었던 작품. 몰입력은 정말 대단했고 영화로도 나온 작품이라 영화도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