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 - 작가정신 35주년 기념 에세이
김사과 외 지음 / 작가정신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마음에 독이 있든 병이 있든, 그것이 작품으로 드러나서 흉이 되고나 죄가 되더라고. 언제나 나란 사람의 부족한 면이 작품으로 이어지면 어쩌나 걱정했지만, 이제는 부족함 없이 강하고 세련된 사람이 되겠다는 욕심은 아예 버렸다. 못생긴 작품이어도 쓰자, 그것이 못내 순진한 열정밖에 되지 못할지언정.“

”소설을 쓴다는 것은 태어남과 죽음 사이의 시간을 삶으로 채워 넣는 일이고, 삶을 감각하는 일이다. 당신이 알고 있는 그 풍경과 느낌을 아는 사람이 당신만은 아니라고, 나도 알고 있으니 안심하라고 독자를 안아주는 일이다.“


작가정신 창립 35주년을 기념으로 23인의 소설가들의 ‘작가정신’을 엮은 에세이집이다. 소설에 대한 그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었다.

소설 좋아하는 사람들은 한 번쯤 들어봤거나, 작품을 읽었거나, 이미 팬이거나 혹은 처음 만난 작가도 있을 것이다.
읽어보고 싶은 작가가 늘어나는 시간이 되어서 충족한 시간이었다.


특히 인상 깊었던 작품은 최수철 작가의 <어느 소설가의 하루, 혹은 아포리즘을 위하여>. 아포리즘이라는 단어를 처음 알았을 뿐아니라 말장난 같은데 아닌거 같은 심오한 작품이었다. 에세이 같지 않아서 더 눈에 띄었다. 정말 신기한데 재미있고 집중해서 읽었다.❗️ 강추 ❗️

글을 쓰는 것에 대한 다양한 고충과 괴로움(?)을 알 수 있었고 행여나 글을 써볼까 한 나의 마음도 깔끔히 접는 시간이었다. 취미라도 창작은 안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논픽션은 자극적인 소재가 아니면 찾질않는데 소설에 대한 소설가의 생각을 읽는 것이 이렇게나 재미있구나! 이렇게 모아보니 훨씬 재미있었다.


나는 소설을 좋아하는데 그 이유를 콕 찝어 말할 수 없었다. 그냥 허구의 세계일뿐인데 왜 그렇게 목을 메고 읽으려고 하는지… 이번 에세이집을 읽으면서 이유가 추가되웠다. 이렇게 힘들게 쓴 작품이 힘들게 세상에 나왔고 작가에게 그 책을 읽은 사람이 여기 있다는, 그 소식에 조금이나마 힘을 얻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