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김희경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구성원의 절반가량이 특정 연령층에 대해 특정한 조건하에서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수용하는 사회에서는 체벌이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폭력이 더 높은 수위의 폭력으로 독버섯처럼 자라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다.”

“아이를 때리면 체벌의 옹호자들이 ‘개선’이라고 해석할 당장의 표피적 효과는 거둘 수 있을지 몰라도 역사 속에서 늘 그래왔듯 폭력은 더 많은 폭력으로, 그리고 더 크고 위험한 세대 간 단절로 이어질 뿐이다.”


얼마 전 ‘정인이 사건’을 보고 난 뒤 서포터즈 활동으로 취약 아동 관련 책을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이 2017년에 출간되었는데 아직도 아동 학대로 목숨을 잃는 아이가 있다는게 놀랍다.

이 책은 학대로 위협받는 아이들과 목숨을 잃은 아이들, ‘비정상가족’이라는 미혼모, 다문화가정 등 의 결손가정 아이들에 관한 권리 보호와 국가는 어떻게 해결해야하는지에 대해 써놓은 책이다.


부모가 아이들을 마음먹고 학대하는 것이 아닌 ‘체벌’을 시작으로 학대는 커진다고 한다. 저자는 ‘체벌’ 자체를 금지하자고 한다.

나도 처음엔 맞으면서 컸지만 잘 컸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내 아이에게는 절대로 매를 들지 않아야겠다.
맞는 아이들은 미안함과 반성을 느끼는게 아니라 부모를 공포의 대상, 무섭고 자존감이 떨어지는 감정을 느낀다고 한다.

이미 스웨덴에서는 아이들에 대한 어떠한 체벌도 금지되었다. 동시에 아동 학대도 줄었다고 한다.
아동 학대 신고로 경찰이 출동하면 부모들의 대다수가 체벌을 핑계로 법의 심판을 피해간다고 한다.


또 공감되는 것이 미혼모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나라 한 해 동안 베이비 박스에 ‘버려지는’ 아이들이 300명이 넘는다. 하루에 한 명 꼴로 아이들이 맡겨진다. 대부분 사람들이 키우지 못하면 낳질말지, 모성애는 어디갔냐는 이야기를 하는데 아이는 엄마 한 명만 있는다고 생기는게 아니다. ‘아빠’에 대한 이야기가 없다.

아이를 키우지 못하는 제일 순위가 경제적 문제 때문인데 ‘부’의 도움 없이는 아이를 키울 수 없는 실정이다. 저자는 국가적으로 도움을 줄 방안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여자의 문제만이 아니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계속 줄고 있고 인구수 또한 줄고있다. 여성들이 출산과 육아, 둘 중 하나를 골라야하는 사회가 아닌 둘 다를 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주자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이미 2017년에 입양 문제와 아동 학대 문제가 수면위에 올랐으며 띠지에도 써져있듯 문재인 대통령이 격려편지를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얼마전 우리는 정인이를 잃었다.

대체 국가는 무얼하고 정치인들은 무얼했는지... 너무 화가난다.
매번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해결이 아닌 이번을 계기로 다시 한번 올바른 해결 방안이 나오길 바란다. 더이상 힘없는 아이들이 ‘부모’라는 탈을 쓴 악마들에게 고통받지 않았으면...

이 책을 많은 사람들이 읽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