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문화인류학 - 문화를 통해 배우는 삶의 방식 ㅣ 10대를 위한 진로수업 6
이희수 지음 / 봄마중 / 2024년 12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제목: 처음 문화인류학
글: 이희수
출판사: 봄마중
<어린이 서평>
지금 10대에게는 직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직업이라는 것에 아예 관심이 없는 학생들도 있고, 직업의 종류를 잘 몰라서 아직 정하지 못한 학생들도 많을 것이다. 직업이라는 것이 나에게 확 와닿지 않고 어떤 것인지 모르고 있을때, 나에게 맞는 직업을 찾아야 할때는 그에 알맞은 책이 필요하다. 책으로 읽고 자세히 알아야 한다.
그런 도움을 주는 책이 바로 '처음 문화인류학' 이책이다. 이책은 문화인류학이라는 한직업에 대해 깊이 설명하였고, 나중에 이 직업을 갖지 않더라도 좋은 배경지식 하나를 얻을 수 있다는 뿌듯함을 얻을 수 있다. 다같이 문화인류학을 탐구하러 책속으로 들어가보자!
문화인류학이란, 이간을 연구하는 인류학의 한 종류이다. 인류학에는 생물인류학, 고고학, 사회 인류학, 문화 인류학, 그리고 언어 인류학이 있다. 문화인류학에 대해서 좀더 깊이 알아보자.
P 20
문화인류학
문화인류학은 인류의 생활과 역사를 문화적 측면에서 연구한다. 생물인류학과 대치되는 용어로, 미국에서 가장 먼저 사용하기 시작했다.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문화인류학은 인류가 형성하고 지켜온 다양한 사회의 모습을 관찰, 분석, 종합해, 독특하고 고유한 문화의 법칙성과 규칙성, 변이와 변화를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
나에게 문화인류학이라는 직업은 처음엔 생소했다. 하지만 이책을 접하고 나서부터 문화인류학에 대하여 관심과 궁금증이 생겼다. 생소하던 것이 사라지고 익숙해지며 아, 이런 직업도 있구나, 아, 이런 일을 하는 거구나라는 공감을 할 수 있었다. 그중, 가장 인상깊었던 장면으로는 '인류학의 조사방법' 파트에 나오는 '문화충격'이라는 내용이다.
인류학의 현지 조사를 하기 위해서는 문화충격을 감수해야 하는데, 그 중 하나의 예시로 나온 팁 문화가 나에게는 너무도 재밌게 느껴졌다. 미국과 유럽에서 경험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 장면을 보는 순간 '돈을?' 이란 생각이 들면서도 신기했다.
이책을 아직 직업을 정하지 못한 10대들한태 추천한다. 이 책을 통해서 직업이라는 것과 그중 하나인 문화 인류학이라는 직업에 대해 관심을 가질 기회가 생길 것이다. 어쩌면 당신이 문화인류학의 문화 연구자가 될지 누가 아는가?
초등고학년부터 추천합니다 !
#처음문화인류학
#봄마중
#인류학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