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만 해독 - 인간관계, 연봉, 번아웃, 불편한 진실이 가져다줄 긍정적 마인드셋
테사 화이트 지음, 한다해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만 해독 - 테사 화이트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내가 책에 형광펜을 긋는 일은 많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사 화이트의 <불만 해독>은 그 내용이 쿨하다 못해 시니컬한 느낌이라 좋아하는 부분에 노랑노랑하게 형광펜을 엄청 그어가며 보았다. 내가 최근에 생긴 회사에 대한 불만이 바로 회사가 인식하는 방법과 사원인 내가 생각하는 방법이 달랐다고 작가가 이야기해 주더라. 일단 회사의 존재가치가 뭐냐고 물으면 당연히 <이윤 추구>라고 대답할 수 있다. 우리는 회사에 월급 루팡이나 하려고 모인게 아니다. 회사에 온 이상 회사와 연봉계약을 맺고 계약관계에 의거하여 내 연봉만큼의 성과를 내야한다는 것이다. 물론 다 알고 있지만 회사 가서 빈둥빈둥 놀고 싶은 건 나뿐만은 아니겠지. 작가는 인사과에서 상당히 오랜 기간 근무하면서 회사에 재직한 직원들이 회사의 관점을 간과한다는 사실에 경악하였다. 즉 회사의 DNA로 보면 흔히들 회사는 직원의 적으로 알고 있지만 그건 거짓이라 말한다. 진실은 회사는 아군도 적군도 아니며 오로지 성과를 내는 일에만 관심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하위 명제는 회사는 매출증가와 효율성증대, 비용 절감 측면에서 더 이로운 결정만 내리 것이라는 이야기다.

내가 회사에서 맡은 업무는 관리부서이면서 페이퍼 워크이다. 매출은 오로지 CEO가 수주해 온다. 시스템적으로도 그렇기에 CEO가 자신의 업적을 훨씬 더 크게 부풀린다고 생각했었다. 그렇지만 결국 내가 하는 서포트 업무도 결국 매출증가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전혀 소용없는 일이 되어버리니 조금 더 회사의 생각과 비슷하게 여겨보기로 했다. 회사의 수익창출은 제품을 판매하는 영업부, 효율성을 창출하는 기술부, 신제품 개발로 수익을 내는 개발부에 더 관심을 둔다. 이로서 알겠는가. 관리부나 회계부, 인사부, 마케팅부는 수익 대신 비용만 발생시키는 까닭에 새로운 예산을 얻기가 힘든 구조라고 한다.

회사 회의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영업부에서 흥청망청 접대비를 써도 매출 신장만 기록하면 모든 게 다 태풍의 눈 화법처럼 덮여버린다. 낭비되어 보이는 접대비도 결국 매출이라는 회사에 이익 되는 강점 하나면 회사에서 영향력(끗발 이라는 단어를 쓰고싶다)을 발휘한다.

내 연봉이 적은 것 같은가. 나의 실적을 숫자와 기한 있는 테스트를 통해서 레벨업 시켜보라고 말한다. 일단 제일 먼저 제시해야 하는 카드는 내가 진행한 <성과 창출>이 이것이다 라고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어떤 결정이든 기존에 이뤄진 선례가 있다면 그것을 활용해서 조금 더 빠르고 부드럽게 결정을 마무리 지을 수 있도록 활용해보자. 선례가 있다는 것은 그만큼의 의사결정이 빠르고, 문제가 없었다는 방증이니까 말이다. 나의 경우 활용할 수 있는 카드는 <신제품 소싱>부분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매출 증가와 직결되는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나의 성과 창출로 어필해 볼 생각이다.

이외에도 사람문제에 있어서 누구나 한쪽만 잘못하는 일은 없다고 딱 잘라 말해주는 것이 좋았다. 결국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안된다는 것은 서로 문제가 있다는 뜻이란다. 남의 잘못만 크게 보지 말라는 팩트폭행에 이빨이 덜덜 떨릴 정도였다. 사람이니까 우리 회사의 빌런은 누구라고 단정짓고 싶지만, 결국 그와 의사소통이 안된다는 것은 내 문제이기도 함을 인정하란다.

진솔한 대화를 해나가려는 노력의 방해물이 되는 부분도 정곡을 찔렸다. 내가 이 이야기를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는 직장인의 부분을 잘 짚어주었다. 마음에 안드는 음식점을 가더라도 내가 굳이 이야기 하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결국 사람이 진솔한 대화를 하지 않는 이유는 <리스크>때문이란다. 내 커리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어그러질 것 같거나 할 때는 함구하게 된다. 괜히 일하면서 사람까지 잃거나 껄끄러워지기 싫으니까. 좋은 게 좋은 거다 하고 자주 참는 나도 관계의 회복이나 빚진 느낌이 싫어서 그런 스탠스를 취하고는 한다. 회사가 알았어야 하는 문제지만 <내가(스스로 나서서) > 굳이 그 사실을 언급할 필요가 없을 때도 진실함과는 거리가 멀어진다. 엊그제 나의 1차 의견을 들어보지도 않고 독단적으로 실행한 프로젝트의 게임 체인저를 말해줄까 고민하다가 결국 이야기 했는데, 이 책을 읽고 그래도 진솔한 대화를 통해서 회사에 이익이 되는 쪽으로 나의 방향성을 잡아주게 도움줘서 고맙게 생각한다.

혹시라도 회사에서의 고민이 있다면 테사 언니의 쪽집게 같은 12가지 진실과 거짓에 대한 생각을 흡수해보기 바란다. 내 생각이 언제나 옳은 것은 아니다. 생각을 리프레임 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