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가장 가까운 적, 성병
엘렌 스퇴켄 달 지음, 이문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가장 가까운 적, 성병 - 엘렌 스퇴켄 달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작가는 노르웨이의 성병학과 전문의다. 현재 오슬로의 대형 종합병원에서 일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질의 응답>이라는 전작으로도 유명하다고 한다. (곧 읽어볼 예정이다)

<나의 가장 가까운 적, 성병> 은 매독, 임질, 헤르페스, 클라미디아, 생식기 사마귀, 질편모충염, 사면발니, HPV 관련 자궁 경부암, 미코플라스마, , HIVAIDS 11가지 성병을 상세히 설명한 책이다. 책의 형식은 가상의 진찰실에서 작가(라고 설정된 의사)와 가상의 성병을 가지고 방문한 질환자들이다. 단언컨대 의사의 직업윤리를 위반한 내용은 없고 환자의 개인정보가 드러나지 않게 가공되었다고 하니 안심하자.

이 책을 호기롭게 지하철에서 읽었다.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책이긴 하지만 이렇게 대놓고 읽어도 되나 하고 호기심 어린 시선들을 받았다. 어떤 이들은 서서 읽는 나를 보며 도대체 공공장소에서 무슨 책(?) 성병(?)에 관한 책을 읽는다고 하면서 아연실색한 느낌이기도 했다. 그건 책 표지와 내 얼굴을 여러번 번갈아 보는 것을 봤기 때문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성병에 대한 인식이나 궁금증이 생기면 비밀스럽게 인터넷을 뒤져볼 생각을 하지 이렇게 전문의가 쓴 책을 읽어볼 생각은 하지 않을테니까 말이다. 그 전에 질병이므로 의심이 되는 환부가 생긴다면 진찰부터 받아야 하는 것이 일순위다. 다만 누구에게도 말하기 힘든 성병 질환에 대해서 병원에 가기 전 어떤 카테고리에 들어가는지, 어떤 증상이 있는지 이 정도를 알아보는 교과서로 선택하면 좋겠다.

많은 물집으로 알려진 헤르페스부터, 심각한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등 이름만 들어도 몸서리쳐지는 질병들이 11가지나 쉴새없이 등장한다. 헤르페스 제1형은 600만년, 2형은 160만년이나 인간과 함께했다. 감염된 사람에게 눈에보이는 증상이 없다라도 전염될 수 있다. 클라미디아의 경우 점막의 접촉을 통해 전염된다.

의외로 <>이라는 것에 굉장히 몸서리쳐진 기억이 난다. 옴은 먹고 싼다면서. 사면발니의 경우 면도와 뽑는 것 만으로도 많은 부분을 해결할 수 있단다. 그렇지만 옴을 제거하려면 겉만 봐서는 안된다고 한다. 최대 살 속으 1.5cm 까지 굴을 파고 들어가 있다니!!! (진드기)의 암컷이 피부에 살 자리를 고른 다음 파고 들고, 피부를 녹이는 물질을 분비해서 구멍을 만든다. 최근 다시 발생하는 수많은 성병중에 옴이 등장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크림형 옴 약물의 활성물질인 <퍼메트린>에 대한 옴의 내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란다. 최대한 24시간 이 퍼메트린이 녹아있는 크림을 바르고 예전엔 12시간 지금은 24시간 이상 크림이 없어지지 않게 해야한다. 또 더 지독한건 이 치료를 일주일 후에 한번 더 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짧은 병명이지만 치료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든다는 것을 기억하자. 딱딱한 옴은 노르웨이 변종이라고 불린다고 한다.

마지막 장은 HIV AIDS를 다룬다. 어떻게 에이즈가 게이암으로 불렸는지에 대한 사실은 불편했다. 늘 모함당하는 사람들은 사회의 소외집단이라는 작가의 의견에 동의한다.

성병은 도덕성과 관련이 없다. 성병에 걸렸다는 사실이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좋은 사람인지 나쁜 사람인지를 말해주지 않는다. 이것을 꼭 기억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