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를 달아 준 그대 - 영화감독을 꿈구는 몽골 소녀 아리오나의 자전적 성장소설
바트볼드 아리온사이항 지음 / 대경북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날개를 달아 준 그대 - 바트볼드 아리온사이항(아리오나)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작가는 실제로 한국으로 유학온 바트볼트 아리온사이항이라는 몽골 사람이다. 몽골인이 한국에 왔다가 꿈과 사랑을 위해 고군분투했던 내용을 담았다. 내용은 굉장히 친근하게 다가온다. 같이 오래 연애하며 살고 있던 남자친구와의 바람기 때문에 결별을 결심한다. 내가 살고 있는 내 명의의 월세집인데 일단 고국으로 돌아가는 과감함. 일단 부모님과 친구들이 있는 곳에서 치유의 시간을 갖기로 한다. 그렇지만 한국어를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해서 통역일을 하거나 꿈이었던 영화일을 놓지 않는다.

전형적인 한국 사람이면서 몽골을 전혀 모르던 나에게는 일단 동대문에 몽골 관련 업소가 있다는 사실이 놀랐다. 몽골 사람이 아니니까 전혀 알 수가 있나! 집 근처에 몽골 게르를 재현해놓은 몽골 민속촌이 있어서 이 곳으로 놀러오는 사람들은 아는데, 실제 몽골 사람들은 동대문에서 자주 만나나보다 싶었다. 가끔 주말에 연극을 보러 가면 필리핀 사람들 모임을 보긴 했는데, 동대문이 이런 메카인가 보다.

아무튼 다시 돌아간 몽골에서 한국인 여행객 통역일을 도와주면서 주인공 미쉘은 에르덴이라는 청년을 만난다. 키가 크고 서로 금방 호감을 갖게 되는 두 사람. 뭔가 사귀자는 말도 없이 여자친구라고 명명해버리는 시점에서 이사람 뭔가 좋지 않은 낌새를 느꼈는데, 아니나 다를까. 자전적 소설이라고 해서 이 작가를 탓하고 싶지 않다. 결국 속인 사람의 문제고 사실을 알게 되고 나서는 헤어지려고 많이 노력했으니까. 그런데, 다시 한국에서 재회하고 만나게 된 것 까지는 껄끄러웠다.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는 일이 있다는 것은 알지만 그래도.

몽골이나 기타 주변국의 지식이 전혀 없었던 터라 몽골에 관광을 갔다가 비자 연장을 위해서 울란우데라는 곳으로 간다는 것도 알았다. 바이칼 호수를 러시아과 같이 끼고있는 부랴트 공화국이다. 러시아의 자치권이 꽤 넓은 곳이라고 한다. 일로서 같이 여행하는 기분이 들었는데, 나중에 몽골 여행을 하게된다면 책에서 등장했던 초트갈랑 폭포(어르헝 폭포)나 테를지 국립공원을 방문하고 싶다. 표지와 본문 삽화가 비암바렌친 바야르토드 라는 작가의 그림으로 등장한다. 유목민답게 말과 몽골 느낌의 삽화도 감상할 수 있다. 미쉘이 감독을 도와 찍는 신에서 말이 등장한다. 사람들의 의상은 고대 삼국시대 옷 같은 느낌을 받았다.

결국 미쉘은 에르덴과의 사랑을 통해 성장했다고 한다. 꿈이라는 측면에서도 놓치지 않고 열정을 다해준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