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에 심는 구근이야기 - 가을부터 봄까지, 꽃이 건네는 따뜻한 위로
조자영 지음 / 돌배나무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을에 심는 구근 이야기 - 조자영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봄을 알리는 꽃 중에 화원에서는 특히 튤립이나 수선화 같은 구근식물을 통해 성큼 느끼는 것 같다. 역시 식집사로서 꽃이 주는 따뜻한 위로는 참을 수 없는 기쁨이다. 늘 춥게 지내다가 본격적인 겨울이 되자 주민인 나때문이 아니라 식물들 때문에 정말 따뜻한 열대 온도를 유지하며 살고 있다.

올 봄에도 화원에 들렀다가 오렌지색 튤립을 하나 샀고 2주 정도 만끽했다.그리고 야무지게 꽃대를 자르고 구근을 파다가 냉장고에 저온 저장을 해두었다. 공기가 통하게 해두었어야 하지만 식재료와 섞일 것을 우려해서 지퍼백에 튤립이라고 써 놓은 채 말이다. 아마 책을 읽지 않았다면 튤립 구근의 껍질을 벗기지 않고 심었을 것이다. 일단 국내에서 특별히 냉장고 저온 처리도 필요 없다고 하긴 한다. 나는 돌아다니는 검색 지식을 통해서 꼭 저온처리를 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그렇게 했는데 매우 당황했다. 저자는 양파망에 서늘한 곳에 두는 정도로 보관해도 괜찮다고 하니 다른 분들은 그 점을 참고하면 좋겠다.

책의 초반은 구근식물에 대한 산업 전반부터 딥하게 들어간다. 나는 초심자를 위한 일러스트와 재배 종류에 대한 이야기가 많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구근들과 지구 온난화와 산업구조까지 알 수 있게 된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 생각해보면 아시아의 꽃이 터키를 넘어 네덜란드까지 가기까지 얼마나 우여곡절이 많았는가. 앞으로의 날씨를 생각하면 1020년 뒤에 이 예쁜 튤립과 히아신스들을 못볼 수 도 있다는 생각을 하니 또 아찔해진다. 먹거리 뿐만 아니라 지구의 기후변화는 너무나 많은 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단 튤립과 수선화 마늘, 양파 같은 추식구근은 백합과의 외떡잎 식물이라고 한다. 구근 생성을 통한 번식을 하고, 구근은 엄밀히 마라면 뿌리가 아니고 뿌리와 가까운 가장 땅 속 깊은 곳에 있는 줄기의 일부라고 한다.

또한 나처럼 집에서 올해 봤던 꽃의 구근을 다시 심는 사람의 경우 구근 크기의 2~2.5배 깊이로 식재하는 것만을 알아도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하다. 이 깊이가 산정된 이유는 꽃들의 대략적인 길이와 무게에서 나온 것이라 한다. 꽃이 크고 화려한 식물들이다 보니 얕게 심으면 꽃대가 쓰러지거나 구근이 들리거나 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으니 꼭 참고하면 좋겠다.

그리고 왜 굳이 봄에 식재된 포트로 꽃을 바로 즐길 수 있는데 추식구근을 구입해야 하냐는 이야기에서 또 깨달음을 얻었다. 예쁘고 절화로 생산되야 하거나 하는 품종들은 이미 가을에 다 구근이 팔리는 것이고, 팔리고 남은 아이들만 봄에 식재되어 깔린다는 것이다. 특별히 좋아하는 희귀종이 있다면 가을에 구근 구입부터 서둘러 볼 일이다.

이외에도 심는 흙은 사질양토로 보수성과 보비성을 좋게 하고, 실외 식재시에는 뿌리응애의 피해에 대비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