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을 이뤄주는 책 ㅣ 세기의 책들 20선, 천년의 지혜 시리즈 8
로버트 콜리어 지음, 서진 편저 / 스노우폭스북스 / 2024년 10월
평점 :

꿈을 이뤄주는 책 - 로버트 콜리어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맛집만 원조 논쟁이 있는 것이 아니다. 사람의 사상이나 생각은 내가 먼저 했다고 딱 찝어서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전세계에 나와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은 꽤나 많지 않겠는가. 그렇지만 누가 그런 생각을 출판했는가가 원조 논란에 대한 깔끔한 종결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 한다. 나처럼 이런 원조논란이나 짜깁기 혹은 표절 시비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꽤 많을 것으로 본다. 보통 심리학이나 자기계발서의 <바라면 이루어지리라> 또는 <강하게 열망하라>는 내용을 론다 번 작가의<시크릿류>라고 부른다. 그런데 스노우폭스북스에서 나온 찐 원조 <꿈을 이뤄주는 책>이 원조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뭐든 유명해지고 나면 원조보다 더 유명세가 있었던 제품이 기억에 남는 것과 비슷하다. 그럼에도 왜 이 책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생각을 몇 가지 적어보겠다. 책은 로버트 콜리어가 1926년에 출간한 책이다. 최초 출간 이후 1,200만부나 팔린 책이라고 한다. 책을 읽다 보면 지금 유행하는 책들의 근간과 비슷하지만 생각보다 놀라게 된 구절들이 많다. 돈이 많은 헨리 포드를 보라는 이야기에서 아 내가 거의 100년전에 쓰여진 책을 읽고 있었지 했다. 당연히 지금은 마윈이나 빌게이츠 혹은 일론 머스크가 언급되어야 할 시점들에서 과거의 핫한 인물이 등장한다는 점이 새로웠다. 또한 예전에도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전의 증조할아버지의 시대를 보면 현재가 얼마나 바쁘고 다양하게 발전하는지 알게 되었다는 표현에서도 그랬다. 1920년대도 그랬을진데, 격동의 인터넷을 보시면 작가는 무어라고 이야기 할까. 이렇게 월드와이드넷이 있고, 게다가 스마트폰이라는 것이 있는데도 도대체 네가 꿈꾸고 있는 삶을 제대로 시각화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말이다. 엄청나게 호통치실 것 같다.
작가의 이론을 한마디로 말하면 당신의 의식은 10% 잠재의식은 90%라는 것이다. 당신이 아직 이루지 못한 것들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하고 강하게 열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당신 마음의 바탕에 <나는 안 될거야> 내지는 <이걸 시작해도 될까> <망하면 어쩌지> 라는 불안과 실패에 대한 생각은 갖다버리라는 것이 전제조건이다. 강하게 열망하는 것을 특히나 자기 직전에 생생하게 그려보도록 하자. 내가 웃으면서 생각한 것이 잠재의식 속에서 내가 가진 어떤 물건에 대한 단상 때문이었다. 지금도 나는 생애 첫 차를 몰고 있다. 그 차는 독특하게 연두색인데 꿈에서도 내가 운전만 했다하면 내 차와 똑같이 생긴데다 색상마저 연두색으로 똑같이 등장한다. 꿈인데도 말이다! 내가 가지고 있고 내가 생각하는 내 차라는 이미지는 언제나 그것 이었다는 게 너무나 자명하게 드러나서 머쓱했던 기억이 있다. 물론 오늘부터 자기 전마다 포르쉐를 줍게 해달라는 상상을 하진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조금 더 나은 성공에의 열망을 해보긴 할 것이다.
또 내가 가져야 할 생각 중의 하나가 <인내심>에 대한 조언이었다. 보통 인내심이라고 하면 참고. 숙고하는 것을 떠올릴 것 같다. 그러나 책에서 말하는 인내심은 중요한 작업을 성취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건이라고 하며, 이는 계획을 지나치게 빠르게 실행하려고 조바심 내는 것을 말한다. 그러니 책에서 말하는 인내는 실천력이라고 보면 좋을 것이다. 늘 하늘에서 포르쉐가 떨어지길 바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 적어도 리스로라도 포르쉐를 몰기 위해서라면 도대체 내가 얼마를 리스비로 내야할지, 그 돈은 벌 수 있을지, 거기에 따라 무엇을 할수 있는지 생각하고 바로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손 모으고 마음속으로 하는 기도는 인내가 아니다.
이 과정에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을 주변에서 멀리하자. 이렇게 되면 나의 존재를 새로 빌드 업해야 하긴 한다. 나 같은 비관주의자의 경우 허황될 정도로라도 긍정을 주입시켜야 한다. 된다. 한다. 해보자. 이렇게 말이다. 부정적인 편견에 잘 휩쓸리는 사람은 아무것도 성취할 수 없다.
책에서 나온 우화 중에서 악마의 세일즈 중 멀리 떨어진 <낙담>이라는 것을 판다는 이야기에 소스라쳤다. 낙담이라는 것은 다른 어떤 것들보다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고. 언제나 어디서나 낙담이라는 도구를 사용하면 다 자포자기 해 버릴 수 있다는 뜻으로 들었다. 그만큼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 노력이 지금 물 온도 97도인지도 모른다. 조금 더 노력하고 인내하면 행복이 코 앞인데, 그 걸 모르는 사람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고, 나에게 무한한 능력이 있으며 내 행복을 위해 완수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는 것. 그게 바로 <꿈을 이뤄주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