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관 구독 인풋 없는 아웃풋의 비밀 - 생각·의지·계획 다 없어도 좋은, 올바른 습관을 구독하세요
지나 클레오 지음, 박영민 옮김 / 프리렉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습관 구독 인풋 없는 아웃풋의 비밀 - 지나 클레오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오늘도 퇴근 시간이 되었다. 자 생각해 보자, 오늘 내가 일부러 결정해서 의도를 가지고 한 일이 몇 가지나 되었는지. 나의 경우 <습관 구독>을 읽으며 괜시리 따뜻한 커피가 마시고 싶어서 일부러 커피메이커를 이용해서 내린 것(평소에는 사먹는다), 달달한 디저트의 유혹에 끌려 차를 몰고 나갔지만 지나친 것(역시나 단것의 유혹에 잘 넘어간다) 딱 두 가지 인 것 같다. 왜 이런 말을 하느냐면 사람들은 늘 새로운 결심을 하고 이런 노력을 해서 나를 바꾸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렇지만 그 새로운 나로 태어나고자 하는 결심은 거의 99.9% 실패한다. 갓생을 살기위해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기로 했는가? 그 결심은 도대체 얼마나 지속했는지 생각해보면 내 말을 이해하고 끄덕일 것이다. 이 변화를 일으키고자 하는 의식이 잘못된 것이 아니다. 다만,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을 뇌가 알아챌 수 없을 만큼 쉬운 일로 시작하는 것이 실패를 줄이는 길이다. 뇌의 선택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내가 바꾸고 싶은 일의 난이도를 줄여서 실천해보기를 권한다. 바로 <마이크로 습관>으로 바꿔보는 것이다. 그리고 파블로프의 개처럼 침대에서 일어나면, 이불을 갠다. 혹은 침대에서 일어나면 휴대폰을 보지 않고(스마트폰 사용시간 줄이기) 이를 닦는다 등으로 조건반사형으로 만든다. 그리고 생각보다 사람은 3가지 이상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으니 이 새로운 습관을 구독하는 경우에도 한 번에 바꿀 것은 3가지 이내로 정하는 것이 좋다. 매일 운동을 가야지 해놓고도 오늘도 잠들었다거나 해서 못가지 않았는가? 내가 특히 저녁시간에 퇴근하고 나면 녹초가 되어서 잠깐 눈을 잘 붙인다, 이렇게 긍정적인 습관을 들이고자 노력하다가 어긋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회복탄력성을 이용해 자신에게 자괴감을 불러일으키지 말고, 다시 이어나가는 센스가 필요하다. 책에서처럼 정 운동하지 못할 컨디션일 때도 체육관까지 차를 끌고 갔다 다시 되돌아오는 한이 있더라도 말이다. 생각보다 관성처럼 계속했다는 지속성을 나에게 가지고 있으면 잠깐 중단되더라도 다시 본 궤도에 올리기가 어렵지 않다. 보통 21일정도로 지속하면 습관이 된다지만 작가의 생각은 다르다. 하나의 습관을 새로 만들기 위해 어떤 실험자는 254일이 필요하기도 했고 보통 평균적으로 66일 정도 걸렸다고 한다. 그러니 새로운 좋은 습관이 몸에 잘 붙지 않는다고 너무 마음을 다그칠 필요가 없다. 다 각자의 시간이 필요할 뿐이다.

특히 책을 읽으며 내가 습관적으로 밤 늦은 시간 충동구매를 하거나, 점심시간에 꼭 커피를 마시는 등의 사건이 나의 자제력 고갈(자아 고갈)이 은행 잔고처럼 총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취약한 시간에는 어쩔 수 없다는 점을 알았다. 그러니 그런 시간들에 대한 대비를 새롭게 해야 하겠지. 결국 원하는 습관을 얻기 위해서는 외적인 보상으로는 그 지속성을 강화하기 힘들다. 내가 하고자 하는 내적 동기를 강하게 가지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하고자 하는 마음, 바뀌고자 하는 열망을 가져야만 바뀔 수 있다. 습관은 작고 눈에 보이지 않게 쪼개고 마음은 크게 먹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