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생김의 심리학 - 정신의학 전문의의 외모심리학 이야기
이창주 지음 / 몽스북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못생김의 심리학 - 이창주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제목부터가 아주 호기심을 당겼다. 내가 요새 제일 많이 생각하는 것이 <외모>. 하루 중에 제일 오래 보는 사람이 외모에 대한 가스라이팅을 하는 사람이기도 하다 보니 그렇달까. 역시 근묵자흑이라더니. 주제에 많이 올리는 사람이 있으면 어떻게든 영향을 받는 게 사람인 것 같다. 그리고 살아보면 생각보다 외모에 따라 주어지는 영향력이 크다. 젊으면 젊은 대로, 이쁘면 이쁜 대로, 보통보다 못나면 못난 대로 차별받는다. 그렇다 나는 이 책을 다 읽었지만 <신체이미지>가 건전한 타입은 아니다. 신체 이미지는 타인의 눈에 담기는 상이 아닌 내가 나를 바라보는 내면의 거울이라 한다. 다른 사람이 아무리 넌 못났어 하더라도 내 신체 이미지가 긍정적이면 타격을 받지 않는다. 그렇지만 자존감이 낮으면 외모 스트레스에 취약해진다. 결과적으로 내 신체이미지가 긍정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받아들인 건 <성형>이라는 컨텐츠로 극복하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내가 지금까지 친하게 친구로 지내는 사람들 중에서 성형수술을 한 사람이 단 한명도 없다. 세상에 내가 제일 많이 한 사람 이다. 그렇다고 갈아엎은 정도는 아닌데, 또 적당한 건수만 있으면 더 나아져보겠다는 열망이 가득 찬 사람이기도 하다. 아무래도 전보다는 나아져서 남들과의 비교에서 호감을 얻어 본 경험이 있어서일까 하는 생각도 한다. 정신과 선생님이자 작가님도 10대에 전두 탈모가 와서 20대 동안 고민이 많으셨다 한다. 아마 남들이 알아챌 만큼의 외모 컴플렉스가 있어본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마음속 깊은 이야기가 있다. 난 왜 이렇게 되어서 상처를 안고 살아야 할까 하는 생각이 굳어지기까지 정말 많은 시간이 걸린다. 아마 여성이라면 훨씬 더 이런 생각을 많이 할 수도 있다. 그냥 나의 경험이다. 주변을 보면 건강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훨씬 많음. 선생님도 외모 스트레스가 여성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고 하셨는데 또 편견을 덧대고 말았다. 경직된 생각이 많을수록 신체 이미지 회복이 어려워진다고 한다. 긍정적인 신체상을 만들려면 당위적인 사고를 가지치기 해야 한다고 한다. 생각보다 나는 남들보다 키도 크고 골격이 좋지만, 늘 반대로 큰 골격 때문에 눈에 띈다고 생각해 왔다. 그렇지만 바꿔 생각하면 내 키와 체격을 부러워하는 사람도 많았다. 사람이 원래 내가 가지지 못한 것을 더 가지고 싶어 해서일까. 책에서도 정말 섹시함의 대명사인 트랜스포머의 주인공인 <메간 폭스>가 신체 이형장애를 앓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태어났으면 삼보일배 할 정도의 외모 탑 티어(흥행배우)도 이럴 수 있다니!

결국 외모심리학의 제일 큰 단계이자 첫 단추는 열등감을 다스리는 것이다. 이는 자신의 부족한 면을 인정한다는 이야기인데 아마 이것이 사람이라면 제일 힘들지 않을까 싶다. 사람이라는 종의 본성이 원래 예쁜 것을 좋아하도록 (이유없음) 만들어졌는데 내 부족함을 인정하라니요. 하다 못해 식물을 사오더라도 수형이 예쁜 것만 골라 사게 되어있는데 말이다. 결국 미를 향한 보편적인 인간의 관념을 바꿀 수 없다면 조금이라도 덜 타격받는 내가 될 수 밖에 없다.

그래야 나만의 평온함을 얻을 수 있을 테니까 말이다. 외모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만 그래도 조금이라도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덜 받고 싶은 사람이라면 나만의 이유와 해결방법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