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 힙하게 먹고 놀고 사고 일하는
김상하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4년 5월
평점 :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 김상하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요새는 태어난 시대에 따른 구분도 옛날 사람들만 쓰는 이야기란 소리가 있다. 그렇지만 적당한 시대를 기점으로 그룹화된 계층을 구분하기에는 이처럼 좋은 단어는 없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너무 자유분방해서 어쩔 줄 몰랐던 X세대를 이야기 했던 것처럼 말이다. 솔직히 말하면 Z세대 혹은 MZ세대를 관찰하며 그들은 이렇다 하는 이야기를 담은 책은 꽤 많이 읽었다. 그렇지만 이 작가야말로 Z세대로서 지금의 우리는 이런 것인데, 물론 아닌 사람도 있지만 이런 생각들을 가지고 있어요. 하는 느낌의 글들이며 생각보다 많은 그들만의 언어가 친절하게 예시가 들어져서 나 같은 기성세대(?)는 책을 읽으며 엄청나게 많은 검색을 했어야 한다고 고백한다. 그만큼 리얼리티가 쩌니까 내가 못알아듣는거겠지 싶었다. 예시의 셋 중 하나 겨우 알아듣는 정도였다. 그래도 표지에 내가 좋아하는 다나카의 추천이 있었다고 해서 기뻤다. 이건 다나카를 알기 때문이었는지도 모르겠지만.
챕터는 힙, 잇(eat), 플레이, 바이(buy), 워크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처음 책을 열었는데 <마카롱 김치찌개>라는 제목이 붙어있었다. 벌써 머리가 아파온다. 마카롱은 디저트로 알고있고, 김치찌개야 한국사람이면 모를 수가 없는 단어다. 그런데 마카롱 김치찌개는 뭐지...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번역해드리자면 관심사가 통일성이 없고 다양함을 뜻하는 것이다. 마카롱 부터 김치찌개 까지 다 파는 식당이 있다면 어떨까. 일단 가보고 싶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러나 Z 세대라는 키워드를 관통하는 말이 있다면 바로 이것인 것 같다. 이 세대는 다양성과 개인주의적 취향, 그리고 각자의 덕질과 기준이 중요한 세대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힙함은 불편함을 감수한다. 플라스틱 없는 삶이라던가 벌써 250만이 택하는 비건까지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불편함은 기꺼이 감수한다. 장바구니를 애용하고, ESG를 실천하는 기업이라면 기꺼이 지갑을 열어준다. 그린워싱이나 어떤 세대의 희생이나 불편을 유발하는 일이 생기면 기꺼이 목소리를 높인다. 라떼는 무엇이든 물어보면 세스코에서 친절한 답변을 해주는 것으로 유명했었는데, 이제는 <유한락스>가 그 바통을 이어받았다고 하니 놀라버렸다. 최근에는 기업도 Z세대와 소통 하려면 진심을 담거나 정말 유쾌해서 광고라도 몰입할 수 있을 정도의 퀄리티를 가져야 한다. 진심이냐 유머냐 그 사이에서 기업들은 어떤 텐션을 취해야 할지 잘 포지셔닝 해야할 것이다. 잘 만든 캐릭터가 있다면 그것을 활용해서 지구가 뿌셔질 만큼 귀여움을 유발시킨다면 그들의 입소문으로 문전성시를 이룰지도 모를 일이다. 그런 면에서 벨리곰 귀여워!
내가 유일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라면, 덕질 유전자가 없어서 그런지 <덕질>에 관한 파트였다. 일단 최애가 없기 때문인지 <앨범깡>과 <오픈깡>에 대한 친절한 소개는 고마웠다. <포카>는 알았지만 그렇게 다양한 포카교환의 꾸밈과 의식이 존재하는 줄은 몰랐으니까.
대신 인생샷을 위한 <생일주간>과 생일파티 그리고 젤리 케이크 등 인생의 추억의 한 자락을 위해 아낌없이 시간과 노력을 쓰는 사람들이란 것을 알았다. 친구들과의 만남에 인생샷 해시태그가 없는 것은 기본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란다. 집도 펜데믹의 영향으로 내 홈파티가 이뤄질 곳이면서, 재택근무를 위한 일터이면서, 온라인 집들이를 해야 하고, 엄빠의 영향력에서 벗어난 매직아일랜드까지 되어야 하기에 그들은 집 꾸미기에 진심이라는 것이다.
도대체 이 친구들이 왜 이럴까에 대한 그들만의 언어로 들어보는 기회가 필요한 사람들이라면 읽어보길 권한다. 수 많은 검색찬스를 통해 조금 더 면밀히 알아볼 수 있을거라 자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