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운 기억, 남겨진 사랑 : 첫 번째 이야기 그리운 기억, 남겨진 사랑
양승복 외 지음 / 디멘시아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운 기억, 남겨진 사랑 : 첫 번째 이야기 - 양승복 , 이아영 , 천정은 , 염성연 , 이동소 , 이태린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디멘시아 문학상> 수기부문 수상작 모음집이다. 요양보호사 공부를 할 때도 외워지지 않던 치매(dementia)가 저절로 외워졌다. 이번 책을 읽으며 치매 관련 전문 출판사가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아마 돌봄후기를 비롯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싶은 사람들이 있다면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치매와 관련된 여섯 작가의 기록이다. 치매라는 주제를 다뤘다고 해서 다 어둡고 눈물 날 것이라는 편견은 버리자. 누구나 태어났으면 나이를 먹고 늙어간다. 그 중에서 오지 말았으면 하는 병이 있다면 치매일 텐데(병이라면 일단 오지 말았으면 하고) 돌봄과 관련해 기관 종사자, 간호사, 가족 등 다양한 시선을 가진 작가들이 만들어낸 작품이라 따뜻함도 느껴진다. 가족이라면 오해할 수 있는 기관의 돌봄 방식도 조금 이해하게 되었달까.

생각나는 부분들을 몇 개 적자면 이렇다. 특히 가족들의 보호를 받아서 돌봄센터로 오는 사람들도 있고, 자기가 알아서 센터의 차를 기다리는 사람도 있단다. 매일같이 지하 1층에서 만나서 돌봄센터를 오는 아저씨가 오지 않아서 찾아나서니 1층에서 차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 나도 출근할 때마다 출입구에 엄청 가깝게 주차하고 기다리는 돌봄센터 차를 본다. 데리러 오시는 분도 나이가 지긋하시고, 센터에 가시는 분도 나이가 지긋하시다. 책의 주인공은 그나마 괜찮은 정도라서 엘리베이터 타고 내리는 연습을 한 결과 기다리게 되었다고 하는데, 이제 1층과 지하1층도 구분을 못하고 당황했을 생각을 하니 내가 더 아찔했다. 그걸 보는 센터의 입장과 보호자의 입장도 생각되었다. 다 출근하고나면 8시 반 정도 되어서 오는 차를 기다려줄만한 성인은 없었으니 그렇게 연습해서 오신 게 아니었겠나. 그런데 병세가 점점 심각해져가다니. 그간 들었던 중증 환자와의 경험담이 겹쳐지면서 이럴 땐 섬망이 심했겠구나, 다른 분들도 그러시네. 다들 왜 이렇게 뭘 훔쳐갔다고 하시는 걸까. 다들 그러시네. 왜 밥을 드셨는데도 안 드셨다고 할까. 다들 그러시네. 발현되는 증상들을 조금씩 더 이해하게 되었다. 마지막 쯤에 나오는 며느리가 모시고 엄마랑 하루 부대껴보고 새언니를 이해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보고 역시 치매 돌봄은 가족이라도 직접 돌보는 사람이 아니면 절대 이해할 수 없다는 점을 다시금 깨달았다. 그래도 정말 정성을 다해 집에서 모시는 분도 있는데, 그래도 요양원에 가시도록 하는 선택이 최선인 가족들에게 혼자 오롯이 감당하는 가족케어가 더 고귀하다고 여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각자 각자의 사정이 있으니까. 한 사람을 갈아 넣는 동안에 그 사람의 삶은 환자와 같이 저 너머의 세상처럼 힘들게 여길 수도 있다. 책을 통해 치매환자와 보호자의 역경 그리고 사랑을 알 수 있었다. 환자 본인이 제일 그리운 기억을 잊지 않고 싶었을 텐데 그 기억이 부디 오래가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