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지구에서 살아가려면 - 종말로 향하는 지구의 방향을 바꿀 9가지 녹색 제안
장성익 지음 / 풀빛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럼에도 지구에서 살아가려면 - 장성익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봄은 참 희안한 계절이다. 묵은 두꺼운 옷들을 꺼내 정리하게 되고, 꽃이 만발하는 게 느껴지면 식물을 들여놓게 된다. 대청소의 시즌이라는 말씀. 똑순이 답게 집에 있는 헌옷들을 수거해가는 업체와 상담했다. 20kg이상이면 킬로그램 당 500원의 값을 쳐주겠단다. 그리고 뭐 얼마나 채워지겠나 하고 바지런히 움직여보니 신발 5켤레와 옷이 40kg 이사박스 대형 2박스를 가득 채웠다. 여기에 낡은 무료수거 제품들까지 더하니 집에 불필요하게 있었다는 물건이 이렇게 많았나 놀라게 되었다. 책에서 말하는 지구와 공존하는 방법은 총 9가지다. 먼저 사람과 자연은 따로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 공기(대기의 질), 기온, 숲과 강물, 그에 터전을 잡고 사는 생물들 다 연결되어 있다. 연어가 거슬러 오는 강의 숲이 더 울창한 것도 생각해보면 연어를 잡아먹는 곰들이 서식하기 때문이고, 이런 눈에 보이지 않는 순환들이 지구에는 많다. 단지 사람이 모르고 있을 뿐.

그래서 결국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40kg의 안 입는 옷들을 보면서 이 모든 것을 내가 <소비>했기에 다시 <쓰레기>가 되게 만들었다는 것을 간과했다. 옷 재활용 센터에 준다고 해서 친환경 소비라는 생각만으로 내 이기심을 덜어내려 했던 것 같다. 재활용은 실제로는 달라진 게 없는 데 우리가 뭔가 <좋은 일>을 하고 있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고 한다. 나역시 재활용은 좋은거야 하고 마음의 짐을 덜려고 했다. 쓰레기를 많이 버리는 것과 별개로 재활용이 되는 제품은 상관없다는 생각과 실제 환경을 위함과는 거리가 아주 멀다. 특히 페트병 같은 경우도 실제로는 완전한 재활용으로 재탄생하는 경우조차 적다. 생산은 줄어들지 않고 그대로 이어지는 것이 문제다.

최근 내연기관의 퇴출 움직임도 생각해보면 그 전기를 이용하기 위한 배터리 생산에 남미의 리튬이나 콩고의 코발트에 의지하는 것을 생각해보자. 그 많은 배터리들을 생산하기 위해서 남미와 콩고의 자연은 무참히 개발되고 있다. 청정이라고 불리는 수소에너지도 3종류인데,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가 있다. 결국 수소를 분리하기 위해서 화석연료를 사용해야만 하는 그레이수소가 국내에서는 제일 많이 사용된다. 전에 태양광 관련 일을 하면서 만들어지는 전지판들을 보면서 이제 도래하는 폐전지들에 대한 재활용 방안조차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보며 분개했다. 더 나은 성능을 가진 제품들만 생산할 줄 알았지 사용기한이 다 된 제품들에 대한 허울 좋은 재활용 방안이나 폐기로의 수순은 지구에게 탈성장이라는 문제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탈성장이 물론 모든 분제를 한방에 해결해 주는 만능주의는 아니다. 그렇지만 과잉에서 균형으로, 추출에서 순환으로, 폐기에서 재생으로 가야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