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날 위의 삶 - 뇌종양 전문 신경외과 의사가 수술실에서 마주한 죽음과 희망의 간극
라훌 잔디얼 지음, 정지호 옮김 / 심심 / 2024년 1월
평점 :

칼날 위의 삶 - 라훌 잔디얼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작가의 직업은 뇌종양 전문 신경외과 의사다. 실은 뇌종양 전문 신경외과 의사가 하는 수술과 그 감정들을 일반 사람들이 알 수가 없다. 작가는 한 때 학업을 하지 않고, 다니던 학교에서 수위로 일하는 등 삶의 변곡점을 여러 번 그린 사람이다. 어릴 적 비행기 추락을 직접 목도하면서 비행기의 잔해가 하늘에서 떨어지고 사람들과의 아수라장이 된 목격담은 나도 그 시간을 겪은 것과 같은 느낌을 주었다. 생각보다 이 책에 대해서는 환자와 의사에 관한 감정적인 이야기가 많이 다뤄지고 있다. 특히 하반신을 절단해야만 하는 환자의 수술을 맡았을 때 그를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가 살아낼 희망까지 전달해주기에 자신은 부족했다고 말하고 있다.
어떤 수술에서는 수술 성공이 10%라고 고지하고 진행했지만, 선택의 기로에서 자신의 선택 때문에 하반신 불수가 되어버린 캐리나라는 환자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수술 마무리에서 최소한의 개입으로 회복을 빨리 하게 할 것인가, 아니면 최대한 보형물 등 보강을 해서 또 다른 위험이 동반되지 않게 하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결국 작가는 자신의 실수가 있었다고 고백하며 수치심을 가졌다고 한다. 입양된 캐리나와 그 가족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경을 딛고 희망을 보았다는 사실은 그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 듯하다.
이외에도 심장은 뛰고 있지만 이미 뇌압이 높아져 실은 사망한 것이라는 것을 환자의 어머니에게 알리기 위해 두개골을 뚫어야 했을 때의 작가의 심정에 같이 힘들어 했다. 살아있는 것과 죽음의 경계를 알리는 것 또한 의사의 일이며
그 모든 순간의 감정과 싸워야 한다는 것을 말이다. 아직 뛰고 있는 아이의 몸을 부여잡으며 믿을 수 없는 사람을 이해시켜야 한다면 그게 나라면 어떻게 해야할까.
책의 후반에 등장하는 부모의 종교적 신념 때문에 수혈을 못 받게 한 엘레나의 경우에서는 화가 치밀었다. 생각보다 다양한 개인적 사유로 다른 사람들의 상식 밖의 일이 일어난다. 돈에서부터 법적인 절차, 개인적 신념, 종교, 아무튼 불행한 가정에는 각자의 이유로 불행하다는 말처럼 각자의 불행을 자초하는 꺼리가 있다.
의사가 되고 싶은 학생들이 있다면 권해주고 싶은 책이다. 실제 수술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로울 것이며, 미국의 의료시스템도 엿볼 수 있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삶과 인간을 존중하는 작가의 의사로서의 태도를 같이 공감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추천이유다. 자기가 수술해서 살리는 사람이 단지 몇 달만 더 살 뿐이라도 최선을 다하고, 그 삶의 이유를 북돋아주는 사람. 바로 그런 사람이 참된 의사가 아닐까. 최근의 사태와 더불어 더 많은 생각이 드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