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여도 괜찮아
한창욱 지음 / 정민미디어 / 2023년 12월
평점 :

혼자여도 괜찮아 – 한창욱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읽고 바로 재독하는 책은 별로 없는 편이다. 그렇지만 이 책이 나에게는 재독을 이끌어냈다. 많은 책을 접하지만 읽으며 작가의 독서량이 방대하다고 느낀 몇 안 되는 작가인 것 같아서다. 책에는 물론 혼자여도 괜찮은 요즘 어른들을 위한 혼자 있는 시간의 힘과 그 시간을 어떻게 보내면 좋을지에 대한 작가의 방안이 나온다. 그래서 작가의 전작인 <나를 변화시키는 좋은 습관>과 <기분이 습관이 되지 않게>도 찾아서 읽어보려 한다.
책의 서두에 먼저 외로움과 고독을 정의한다. 외로움은 의지와는 상관없는 관계의 단절을 의미하고, 고독은 자발적인 고립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러니 외로움을 자발성의 기회로 삼아서 수동적인 뇌에서 기회의 시간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고독은 자기 수련의 시간이자 미래의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도 있는 무궁무진한 시간이다.
연말이고 무의식적으로 <아 외로워>란 말을 달고 살았다. 자발적인 기회의 시간인 카이로스의 시간으로 다가온 빈 시간을 계획해봐야겠다.
책에서 혼자 있는 시간의 장점으로 여러 가지 예를 들었다. 내가 누군지 알 수 있으며, 현재 생활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집중해서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으며, 숨겨진 재능을 발견하게 될 수도 있다. 커피숍에서 죽치며 글을 써서 성공한 작가들을 예로 들며 독서와 글쓰기를 세트로 꼭 실행해보라고 이야기한다. 혹시라도 창조에 자신이 없다면 제일 좋아하는 책을 필사하면서 자신의 문장력을 올려보는 계기로 삼아도 좋다고. 대가로 알려진 서머싯 몸도 필사를 했다고 한다. 좋은 문장을 체득하고 자신의 필력에 부족함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내가 알고 있지만 읽지 못했던 고전들에 대해서도 작가의 줄거리와 느낀점으로 새롭게 다가왔다. 돈키호테의 작가 세르반테스가 외팔이였던 사실은 몰랐다. 생각의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책과의 만남도 중요하지만 거기서 더 나아가 고요하게 사색하고 명상하는 시간도 필요하다. 혼자 있는 시간을 즐기는 방법중에 제일 액티브한 것은 바로 여행하기다. 그리고 시간도 여유도 부족하다면 상상해보기라는 즐겁고 쉬운 방법도 있으니 실천해보길 바란다. 나의 경우에는 <관찰하기>가 끌렸다. 어떤 글을 쓸려면 재료가 있어야 하고 인간이든 상황이든 경험했던 것을 여러 가지 방면으로 관찰해보고 다른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혼자의 시간을 잘 보내면 인생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그러므로 내 적극적인 고독의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 잘 계획해보자. 그리고 새해맞이로 많은 독서를 계획했다면 이 책을 또 추천한다. 고전을 비롯 영화까지 알고 싶어지는 소재들이 무궁무진하다. 이제 나도 누가 물으면 혼자여도 괜찮다고 내 고독의 시간을 열심히 갈고 닦고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