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화수 쉬고 목금토일만 여는 카페 - 워라밸 카페 창업기
윤예리 지음 / 북스타(Bookstar) / 2023년 11월
평점 :

월화수 쉬고 목금토일만 여는 카페 (워라밸 카페 창업기) – 윤예리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제목을 보면 어느 파이어족이 자기 건물에다가 은퇴 후 여유롭게 자영업을 운영하는 것 같은 제목이다. 그렇지만 이것은 한 MZ세대가 코로나 직전 창업을 결심하고, 대 역병의 시대에 창업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망하지 않고 버텨온 기특한 기록이다. 많은 자영업자가 개업 후 5년 안에 폐업한다. 이것은 그나마 경기가 보통일 때의 이야기다. 그렇지만 누구도 예상 못한 그리고 금방지나갈 것이라고 생각한 혼란의 시기는 갑자기 다가왔다. 그 누구에게도 하지 못했을 내 인건비는 고사하고 이시기에 망하지 않기를 그러니까 버텨내기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고 한다. 많은 사장님들이 힘든 시기에 비슷한 생각을 하셨을 것이다. 창업을 위해 유학했던 일본에서 취업한 회사도 그만두고 귀국한 윤예리작가. 창업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도아니면 모의 정신으로 카페를 열어버린다. 위치는 대전 유성터미널 근처. 나이 또래와 비슷한 감성의 손님들을 주 타겟팅 했고, 터미널 근접이라는 이점을 살려 유동인구를 조사했다. 카페 이름은 독창성을 겸비한 <리브리베>이다. 나는 책에서 말한 40대가 넘는 꼰대라서 그런가 이름이 몇 번을 읽어도 잘 기억되지 않아서 어쩔 수 없는가 했다. 그렇지만 꼭 한 번 들어서 기억나는 이름이어도 너무 흔하면 검색이나 홍보에 불리한 점도 있으니 독특한 상호를 지은 작가의 의도가 보이는 대목이었다. 또한 MZ세대답게 원거리에 있는 손님을 모객하기 위해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SNS를 활용한다고 한다. 여전히 인별을 안 하는 기성세대들은 매장 소식을 SNS만으로 알리는 것은 조금 아쉽지만, 젊은 사장님들이 하는 카페나 디저트집들은 많이 그렇더라. 가고 싶은 동네의 유명 맛집도 소규모로 하는데 예약을 인스타로만 받아서 전화로 몇 번 문의하다 방문을 포기했다. 40대 중반인 나도 이 정도인데, 더 나이드신 분들은 말해 무엇하리. 하지만 이렇게 분리가 되면 사장이 타겟으로 잡은 연령대의 손님들이 리피터(재방문 고객)가 되면서 소위 그 가게의 물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 같다. 인테리어를 위해서 크게 적은 메뉴판을 없애고, 깔끔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추구하게 된 것도 결단력이 돋보인다. 혼자서 모든 것을 결정해야 하는 것이 1인 CEO의 숙명이자 외로움이라고 하더라. 책임은 지지 않으면서 이래라 저래라 하는 사람은 많고, 내가 하나부터 열까지 다 신경써야 하는 것이 사업인가 보다. 결국 창업하고 29일에서 30일을 꼬박 일한 결과 건강과 라이프밸런스가 무너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래서 월1회 휴무에서 주1회 휴무로 바꾸게 된다. 관절염과 인생의 사이에서 사업이 더 중요한지 인생의 즐거움 등인지를 심각하게 고민하게 된다. 그래서 내린 결론이 천천히 가고 재미있게 사업을 영위해가기로 한 것이다. 그래서 영업시간을 책의 제목처럼 월화수는 쉬고 목금토일만 여는 카페가 된 것이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답례품을 개발하고, 카페 영업 이외의 시간에는 품목을 다양화 하는 등의 노력도 물론 있었다. 근처에 숙박업을 병행해서 n잡러를 시도하려고도 했고 말이다. 결국 내가 어떤 모토로 인생을 대하는 가는 어떤 가치를 우선하는가에 달려있다고 본다. 카페의 매출은 감소했지만 더 지속가능한 목표를 설정했으니 된 것이 아닐까 한다. 읽으며 다시 한 번 요식업을 하는 사장님들의 근무시간에 놀라버렸다. 늦은 시간 배달까지 노리시는 분들은 정말 엄청난 업무량에 시달리실 것 같다. 작가는 타고나길 사업가의 자질이 있어보이는데, 나는 더 버틸 수 있을 때까지 월급생활자와 n잡러를 병행해야겠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