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 : 최후의 바다
박은우 지음 / 고즈넉이엔티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량: 최후의 바다 박은우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이제 2주 후면 노량해전을 담은 영화까지 개봉해서 사람들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것 같다. 영화로도 명량과 한산 그리고 마지막은 이순신 장군의 죽음을 담은 노량이니까. 안그래도 가장 치열했던 노량을 먼저 책으로 만나보고 싶었다. 일단 이 책은 각자의 개인적 고뇌가 면면히 보이는 등장인물들을 내세워서 읽는 동안 각자가 지키고 싶었던 가치가 무엇이었는지 잘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가 제일 싫어하는 조선왕 넘버 원인 <선조>의 이름이 이연인 것은 이책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역시나 정말 짤막하게 등장하는 선조이지만 손문욱(-이문욱) 과의 독대 장면에서 얼마나 자기만을 위하는 사람인지 여실히 알게 되었다. 원래도 싫었는데 이런 마음으로 충신들을 다 토사구팽 시킨 거라면 정말 몹쓸 인간이다. 나밖에 모르는 사람이 군주가 되면 그 이후에 백성들이 도탄에 빠지는 것은 얼마나 자명한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미스테리 하지만 역사의 한 조각으로 남아있는 손문욱도 그 시대에 삶을 부지하며 여기저기 간자로써 쓰임을 다하려는 사람의 면을 잘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생각보다 조명연합군의 엉성한 출전의식을 잘 볼 수 있었다. 하긴 남의 나라 싸움에 나와 있는 장군들이 그 얼마나 복수심에 불타거나 하겠는가. 대충 시간이나 보내다가 자국을 지키려는 사람들 사이에서 수저를 얹은 것이나 매한가지인 것이다. 고니시 유키나가가 명을 통해 회유해서 연락선 한 척을 내보내게 해준 것부터가 잘못된 수순이었다. 어느 쪽이 이기건 나에게 당장 재물을 많이 주고, 연회를 베풀어 주고, 당장의 이익만 준다면 어느쪽이 이겨도 상관없다는 방관자였다. 거기에 대국이라는 압력을 넣어 수군 통제권까지 좌지우지 하니 책에서 표현한 대로 진린은 정말 민폐 덩어리 그 자체.

또 한가지 격분하게 된 것은 안 그래도 7년 동안 마구 국토를 헤집으면서 수탈해간 왜놈들이 물러나는 조건으로 수급 2천을 요구했을 때다. 수급. 사람들을 죽여간 전리품을 머리로 하다가 결국 가지고 가기 힘들어 사람들의 코와 귀를 잘라가는 것을 말하는데, 목숨만 부지하기에도 시원찮을 놈들이 자신의 공까지 세우려고 결국 생떼 같은 사람들 2천 명을 죽여서 내놓으라는 뻔뻔함에 치가 떨렸다. 눈물이 흘렀다. 전쟁이란 결국 제일 힘없는 사람들의 희생으로 이루어지는구나 싶었기 때문이다. 현재도 이스라엘이나 우크라이나에서 계속해서 전쟁이 일어나 희생자가 생기고 있다. 지금은 뉴스에서 보고 있지만, 이런 일이 나에게 닥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는 것이다. 당장 이 나라에서 전쟁이 난다면 삼면이 바다인데, 어디로 떠날 수나 있을까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초반에 시작하는 이순신 장군의 등장 신에서 달리 갈 곳도 없이 바다에 계속해서 머물렀다는 것이 얼마나 착찹한 심경이었는지 알 것 같았다. 명에서는 쓸떼없이 죽을 죄를 지었어도 목숨만은 살려주는 충신으로 지정되었지, 거기에 선조는 눈엣가시 취급을 한다. 사람들은 계속된 전란에서 믿을 사람은 나밖에 없다고 구원을 요청한다. 그렇지만 나도 실제로는 본가까지 침략당해 막내아들(이면)을 잃고 제대로 묻어주지도 못했다. 같이 나와서 전장에 있는 아들 하나도 걱정이 될 것이다. 충심이라는 것에 대해 무의미하다고 여길 정도의 나레이션에서 정말 인간 이순신이 느꼈을 그 고독감과 회한이 잘 드러난 부분이었다고 생각한다.

원래도 고즈넉 이엔티 작품들을 좋아하는데, 박은우 작가가 먼저 펴낸 <명량 1,2>편도 읽어보고 싶어진다. 12월에 답답한 마음을 풀어주는 시원한 바다 같은 소설이었다. 물론 역사가 있기에 전쟁에서 이순신을 잃고, 결국은 승리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정말 만약에 이런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충신이 없었다면, 이연 같은 쓰레기가 나라를 다 줘버렸다면 어떻게 역사가 흘러갔을지 모를일이라는 생각이 들며 그 시간에 계셔주어 감사하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