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가 사라진다 - OTT에서 영화제까지, 산업의 눈으로 본 한국영화 이야기
이승연 지음 / 바틀비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영화가 사라진다 - 이승연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무려 작년에 영화관람권을 싸게 팔아서 사두고도 극장에 방문하지 않아서 날려버린 것을 기억해냈다. 그리고 최근 극장에 가서 마지막으로 본 영화가 무엇인가 생각해보니 한국영화긴 했다. 생전처음으로 마음에 드는 배우가 주연을 맡은 작품이었는데, 감독의 재량 미숙으로 보다가 자고 나온 것이다. 정말 뒷부분이 궁금하지 않아서 자도 아깝지 않을 작품이었다(작품이라는 말도 아까움). 그래서 이 때 이후부터인가 내가 영화를 보러 다니지 않는 동안 한국영화가 이렇게까지 후퇴했나 하고 심각하게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그 뒤로 나름 흥행했다는 영화를 봤는데도, 2000년대 초반 르네상스처럼 재미가 느껴지지 않았다. 책에서도 나오지만 그렇기 때문에 극장에서 영화를 경험할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는 작품에만 극장에서 보는 사람이 생기고, 나머지는 OTT를 이용해서 집에서 관람하는 사람의 비중이 생기는 것 같다. 코로나의 영향으로 집에서 영화를 보는 익숙함에 빠져들기도 했고 말이다. 홀드백 기간이 짧아지면서 바로 풀어버리는 영화도 있고, 동시개봉도 있고, 최신작을 꼭 극장이 아닌 곳에서 즐기는 것도 어색하지 않은 일이 되었다. 일단 일반 관람객의 입장에서는 수없이 올라버린 티켓값과 프리미엄관들이 생기면서 극장나들이가 예전만큼 쉽게 나설 수 없는 것이 되었다. 나만 해도 사운드나 큰 화면에서 봐야할 소위 대작들은 아이맥스나 돌비시네마관에서 보는 것이 경험으로 다가왔다. 그래서 이런 영화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 이 프리미엄관 뿐만 아니라 배급사에서 스크린 몰아주기가 심각하므로 선택과 집중은 극장과 관람객과의 눈치싸움이 되었다.

그리고 극장표를 구입할 때마다 다른데서는 붙지 않는데 영발기금 3%를 내가 내고 있다는 것은 알았다. 그런데 다른 영화소비처에서는 붙지 않는 이 돈을 내가 극장을 왔다는 이유로 계속 내야 하는 걸까 하는 생각도 든다. 여러번의 개정을 거쳐 이 기금은 28년까지는 계속된다고 하니(영비법 존속이 20281231일까지) 이게 잘 쓰이고 있는 건지 도대체 궁금했었다. 영화발전기금이 관람객들을 위해 양질의 영화에 더 쓰이길 기원한다.

그리고, 영상물등급위원회 관련 이야기는 좀 더 우리나라의 영화의 연령등급을 분류하고 내용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이 좀 더 세부적이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게 되었다. 연령등급이 폭력성이나 선정성 부분에서 특히 청소년을 보호하는 목적에서라면 조금 더 IMDB 학부모 가이드 처럼 짧은 시간 안에 피해야할 내용들을 거를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어떤 영화를 보면 이게 왜 15세관람가를 받은 거지 하는 영화들도 꽤 있었기 때문이다.

한류에 붐으로 흥하는 컨텐츠들도 많은 가운데, 볼만한 한국영화가 계속 생겨날 수 있도록 기원한다. 스크린 독과점은 줄고, 지방 소도시에서도 독립영화가 걸릴 수 있는 날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