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생 돈 버는 비즈니스 글쓰기의 힘 - 한 줄 쓰기부터 챗GPT로 소설까지
남궁용훈 지음 / 리텍콘텐츠 / 2023년 8월
평점 :

평생 돈 버는 비즈니스 글쓰기의 힘 - 남궁용훈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남궁용훈 작가의 전작인 <특허 지식재산권으로 평생 돈 벌기>라는 책 이후에 두번째로 만난 책이다. 원래 공직자이면서 다량의 글쓰기 공모전에 입상해 수상한 경력이 있는 사람. 그 글이 에세이부터 동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 그리고 특허권 관련한 책을 썼고 베스트셀러를 만든 사람. 내가 알고있는 저자에 대한 내용이 여기까지인데, 이 사람이 이런 경력을 가지고 <돈을 벌어다 줄 수 있는>글쓰기에 대한 책을 만들었다니 무척 궁금했다. 내가 읽어본 책 이외에도 지금도 헬리콥터를 조종하고 수리하는 사람들에게는 유일무이한 바이블인 <헬리콥터 조종사와 정비사라면 반드시 읽고 익혀야 할 헬리콥터 엔진원리>의 저자이기도 하다. 글쓰기와 헬리콥터 엔진과 비둘기의 꿈과 여정, 마지막으로 특허 지식 재산권까지 이 사람이 아는 것의 범주가 얼마나 넓은가에 대해 놀라울 따름이다. 일단 글을 쓰고 싶은 마음이 있는데, 어째야 할 지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단순히 일단 글을 써보라고 권유한다. 한 마디 글을 써보겠다. 이제 글을 써본다. 혹은 이제 시작했다 어떤 말이라도 좋다고 한다. 첫술에 배부르겠냐 만은 시작을 <일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글쓰기에 퇴고 부분에서 시간과 인력을 줄여줄 <한글>프로그램<최신버전>을 이용해서 작성하기를 권하고 있다. 글을 다 적은 후에 F8키를 누르면 맞춤법 검사기를 통해 기본적으로 맞춤법을 거를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그리고 글을 쓸 때는 구어체 문어체 구분하지 말고 입으로 소리내어 읽어봐야 한다. 읽었을 때 뭔가 이상하거나 의미가 잘 구분되지 않으면 고칠 것. 또한 퇴고 시에는 기존 작성한 원고가 A4분량 30매라면 이 중에서 10%는 무조건 덜어낸다는 심정으로 초고를 퇴고해야한다. 기본적으로 작성하는 문장은 짧고 간결한 것이 좋으므로 최대한 주어와 서술어를 붙여 짧게 쓴다. 인간은 말하기를 좋아하고, 글쓰기를 싫어하게 프로그래밍 되어있어서 긴 글이 등장하면 결국 안읽게 된다고. 나만해도 뭔가를 설명하려고 길게 글을 쓰는 버릇이 있다. 그렇지만 이 점이 독자들을 떠나게 만들 수 있단다. 글을 짧게 쓰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한글 프로세스를 켜서 다른 어떤 것도 건드리지 않는다. 글자 포인트를 10에 맞춘다. 그리고 글을 작성하면서 A4 가로의 70%가 넘지 않도록 문장의 길이를 조정하면 알맞다고 한다. 나의 경우에는 시력 때문에 조금 더 큰 12포인트로 하고 있는데, 책을 읽고 나서 글자크기를 조정했다. 한 문장마다 중언부언하지 않는지 고민하게 되니 좋은 팁이라고 생각한다. 언제나 좋은 평가를 받는 작가의 글을 읽으면 짧고 간결하다. 그래서 더 사람의 마음에 각인되는 것이란다. 그리고 이 문장들을 주제에 맞게 3~5개 이어서 문단을 만든다. 길게 쓰지 않더라도 읽는 사람이 쉽게 피로해 질 수 있는 <수동형문장>쓰는 것도 지양해야 한다.
어느 정도 글쓰기에 탄력이 붙었다면, 나를 알리기 위해 한가지 주제를 정해 지속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블로그를 만든다. 독후감도 좋고, 습작도 좋다. 한가지 주제로 경험을 계속 쌓는다. 이는 노력의 축적을 보여주기에 일석이조다. 이후 <엽서시>를 통해 공모전에 나가보는 것을 중간 목표로 삼는다. 최종 목표는 이야기의 기승전결과 기획력을 성장시킬 수 있는 소설쓰기다.
마지막 장에 챗GPT를 통해 질문만으로 한 가지 판타지 소설을 작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챗GPT와의 협업이라는 말로 표현되었지만, 이 정도까지 정교하게 글쓰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어 소름 돋았다. 확실히 키보드 잠깐 두드리는 것으로 논문과 숙제가 다 된다는 말이 사실이었다. 소설도 이정도로 써낼 정도면 말이다. 그래서 역으로 더 글쓰기를 계속하고, 본인의 스킬로 삼아야 한다는 점도 수긍되었다. 인공지능에게 굴복하는 사람이 아니라 창조자로 살기 위해서라도 끊임없이 써야한다. 그 글쓰기의 핵심은 독서이며, 쓰면서 내것으로 완성하고, 퇴고하며 날렵하게 해야 한다. 내가 글을 쓰는 이유와 끊임없이 글쓰며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론까지 제시되어 유용했다.